어느 아마추어의 미술작품 쉽게 읽기 - 서울예고 학생 16명의 작품에서 배우는 미술작품 감상과 비평
조준모 외 15명 지음 / 밥북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누군가 세상은 온통 다양한 작품이라고 말씀했던 문장이 생각납니다. 그 다양한 작품을 속속들이 다 알 수 있어도 머리가 아플 것 같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내가 보고자하고 느끼고자하는 작품에 대해 제대로 보고 좀 더 쉽게 읽어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 작품이 변화하는 이 세상의 한 분야로 한정한다고해도 내게는 너무나 큰 도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미술작품을 제대로 보고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한 권 <어느 아마추어의 미술작품 쉽게 읽기>를 만나보았습니다.
 
이 책은 크게 두 파트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 파트는 미술에 대한 기초를 다지는 '그림 읽기를 위한 자음과 모음' 을 살펴봅니다. 두 번째 파트는 서울예고 학생 15명의 작품에 대하여 개개인의 짧은 감상평과 저자의 작품해설 그리고 작가의 말을 들어봅니다.
 
그림이나 미술작품은 그 안에 담겨있는 이야기를 말로 풀어주지 않기에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미술작품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미술작품의 이야기는 시대에 따라 변화고 또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할 것 같습니다. 미술작품에 대한 보는 새로운 눈, 새로운 마음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경계를 허무는 것이 현대미술의 큰 특징 중 하나라고 하는데 첫 번째 파트의 기초를 시작으로 두 번째 파트의 15편의 작품에서 내가 알고 있는 기존 미술, 그림이나 조형미술에서 시대에 따라 경계가 조금씩 넘나들며 현대미술까지 왔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기초와 본격적인 그림읽기의 작품해설 그리고 작가의 말보다 오히려 기초에서 설명하는 마지막 페이지의 '작가의 죽음''감상자의 탄생'이라는 글이 '그림읽기' 를 시작하려는 내 마음을 마구 두들겼습니다.
 
예술의 경계를 구분하던 시대에서 모든 것이 예술로 이야기 될 수 있는 현대 사회가 오늘의 미술을 더욱 어렵게 만들지만 그만큼 보고 읽을 거리가 넘치는 것 같습니다. 결국 모든 것은 내 안에서부터 그것을 볼 수 있는 눈을 갖게 될 것 같습니다. 세상 모든 것이 작품이라는 말씀. 그 말씀에 다시한번 공감하며 <어느 아마추어의 미술작ㅍ무 쉽게 읽기>를 통해 좀 더 쉽게 읽는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16편의 작품에서 작품만으로도 혹은 제목만으로 미술작품을 조금 더 읽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일부 작품은 작품해설과 작가의 말을 읽어도 나와는 서로다른 눈을 가졌구나. 싶었습니다. 어쩌면 당연한 결과이지만 그렇기에 더 다양하고 넓은 시야로 미술작품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