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 우정, 구애, 사랑, 결혼
앨리스 먼로 지음, 서정은 옮김 / 뿔(웅진)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단편 소설 작가 최초로 2013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고, 북미 최고의 단편 작가로 불린다는 앨리스 먼로의 소설집 <미움, 우정, 구애, 사랑, 결혼>을 만나보았습니다. 책 제목의 단편 '미움, 우정, 구애, 사랑, 결혼'을 시작으로 총 아홉 편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아홉 편의 이야기는 내가 즐겨보는 소설과는 조금 차이가 있었습니다. 내가 그동안 자극적인 소설에 빠져있었다면 이 책의 단편들은 여성을 사로잡는 감미로운 문장으로 나이들어 지나온 세월을 담담하게 들려주는듯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지 오래되서인지 조금은 낯설게 느껴졌지만, 아홉 편의 이야기는 그냥 들어주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홉 편의 이야기는 지난 삶의 이야기를 가까운 친구에게 들려주듯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아홉 편의 단편은 본문에서 제목을 그대로 혹은 비슷하게 독자들에게 한번 이상 들려줍니다. 작가는 어떤식으로든 독자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제목에 담아 들려주고 싶었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저자가 들려주는 삶의 이야기에 집중할 수가 없었습니다. 누군가는 여성의 감미롭고 섬세함이 묻어있다고 하는데 오히려 그런 감미롭고 섬세함으로 인해 이야기가 조금은 진부하기까지 했습니다. 무엇이라고 해야할까요? 너무나 긴 넋두리를 아무 대꾸없이 들어주려니 힘들다? 뭐 이런 느낌이랄까요. 아니면 그동안 너무 자극적인 소설에 노출되어 있어서 자극적이지 않은 인생의 파편같은 이야기를 너무나 다양하게 그것도 기나긴 넋두리로 들으려했던게 힘겨웠던 것 같습니다. 물론 작가는 여성으로는 13번째로 노벨상을 수상했고, 단편으로 더욱 알려진 작가라고 합니다. 내가 너무나 쉬운 소설을 만나서 진정한 문학을 만나지 못해 어려웠던 것도 사실일 것 같습니다.

 

아홉 편의 단편에서 만나는 삶의 주인공과 조연들은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라고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이해도 가지만 너무 깊이 개입하고 싶지 않은 느낌도 받습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그냥 들어주어야 하나보다'라는 생각 뿐입니다. 내가 나이들어 나의 삶을 혹은 내가 보고 듣고 겼었던 이야기를 누군가에게 이렇게 들려줄 수 있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아마도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줄수는 있지만 작가처럼 들려주지 못하기에 깊이있게 작가의 세상 속으로 빠져들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나에게 조금은 다가가기 쉽지 않은 단편 소설집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height=90 src="http://api.v.daum.net/widget2?nid=51310960" frameBorder=no width=76 allowTransparency scrolling=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