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찰음식이 좋다 - 불영사 자연 그대로의 밥상 ㅣ 불영사 사찰음식 시리즈 3
일운 지음 / 담앤북스 / 2013년 9월
평점 :
내가 사찰음식을 처음 접해본 것은 아주 어렸을 때 입니다. 아주 어렸을적에 부모님을 따라 절을 다녔었습니다. 자주는 아니지만 그때는 아무 생각없이 부모님이 가는 그곳을 따라 다녔습니다. 부모님을 따라 다니던 절에서 접해본 사찰음식의 어렴풋한 기억은 행복한 맛이나 자극적인 맛 보다는 밋밋한 맛이였다고 생각이 듭니다. 집에서도 채소 위주의 식단이였는데 절에서도 채소 위주의 식단이 맘에 들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얼마전 사찰음식에 대한 글을 읽고서 사찰음식에 대해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러던 중에 <사찰음식이 좋다>를 알게되었습니다. 이 책은 불영사 사찰음식을 담고 있습니다. 자연 그대로의 밥상을 불영사 스님들이 가꾼 재료와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가지고 사찰음식을 맛보게 만들어 줍니다. 물론 이 책 이전에 사찰음식에 대한 책을 만나볼 수도 있었지만 여의치 않았습니다.
이 책은 음식 이야기만 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채소를 주제로 한 음식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생각해 보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100가지가 넘는 레시피는 누구나 손쉽게 만들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음식에 쓰이는 채소 재료에 대해 조금의 공부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나의 경우 처음 들어보는 채소와 들어보기는 했지만 잘 모르는 채소가 있어 하나, 둘 알아가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몸과 마음의 힐링을 찾는 요즘 사람들에게서 음식은 또하나의 치료 방법일 것입니다. 이 책은 눈으로 코로 입으로 먹는 방법을 그리고 귀로 몸으로 뜻으로 먹는 방법을 일깨워 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눈으로 먹습니다. 코로 먹습니다. 입으로 먹습니다. 귀로 먹습니다. 몸으로 먹습니다. 뜻으로 먹습니다. - p. 11 |
이 책은 색, 수, 상, 행, 식. 다섯 파트로 음식을 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처음은 우리나라 음식의 기본 밥과 국을 먼저 소개하고 있습니다. 불영사에서는 밥과 국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스프와 죽을 함께 소개하며, 오히려 그보다 앞선 공간에 레시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찰음식이라고하면 힐링, 건강식이라는 생각에 밋밋할 것 같았습니다. 어렸을 때 부모님을 따라 절에서 먹었던 음식이 아직까지 남아있어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다보니 사찰음식에서도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물론 그 색다른 맛이라는 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반찬이 될 수도 있고, 장소가 행복을 부르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스님들에게 있어 채소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하는 아욱을 가지고 '아욱수제비'도 만나면서 스님들의 즐거운 느낌을 전해받는 것 같았습니다. 사찰음식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은 당장은 아니여도 분명 이시간 이후 열린 마음을 가지고 사찰음식을 만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같은 요리도 먹는 사람에 따라 달리 느껴지듯 똑같이 펼쳐진 세상도 우리들의 마음에 따라 각기 다른 세상으로 태어납니다. - p. 149 |
책 중간 중간 '불영사 일기'와 '불영사 울력 이야기'는 잠시 쉬었다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맛좋은 음식이라고해도 쉼은 필요하다는 것을 말보다는 몇 줄의 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레시피에서 꼭 알아야 할 부분은 '+더하기'라는 Tip을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절집밥상도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게 변화가 되지만 그 어떤 새로운 것도 과거와 현재 없이 이루어지지 않듯이 모양이 아무리 새로워진다 해도 우리네 장은 음식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 p. 220 |
끝으로 책을 마무리하면서 '장'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데 그냥 가볍게 넘겨도 좋겠지만 한 번쯤 나와 세상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도 좋을 것 같습니다. 몸을 살리고 마음을 치유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