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케치 노트 스케치 노트
장 프랑수아 갈미슈 지음, 이주영 옮김 / 진선아트북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내가 만난 두 번째 스케치 노트는 <건축 스케치 노트> 입니다. 책장을 펼치자마자 건물의 윤곽, 둥근 천장, 창문 등 다양한 건축물의 요소들의 스케치를 만납니다. '도시는 아름답다'는 머리말로 도시를 제대로 알고자하는 분들에게 몰랐던 도시를 만나고 도시에 빠질 수 있을 것이라고 귀뜸해주며 시작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건축 스케치 노트>에서 차례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가장 기본적인 정보는 알고 넘어간다면 분명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도시를 그릴 때 도움이 되는 정보'는 꼭 스케치를 할 때 뿐만이 아니라 도시를 알고자 하는 분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 같습니다. 우선 도시 스케치에 필요한 재료를 살펴봅니다. 도시의 모습 그리기와 스케치하기에서 그대로 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그림으로 그리고 글로 기록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이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준비가 되었다면 구도를 잡아야 한다고 합니다. 꾸준히 반복된 연습으로 구도를 잡는 것과 도시를 담는 스케치를 조금 더 자연스럽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케치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스케치할 때 하지 말아야 할 것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입니다. 물론 몸으로 알려면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건축 스케치 노트>에서 만나는 도시는 내가 이미 방문해본 곳도 나옵니다. 가장 먼저 만난 도시는 이탈리아의 두오모 광장입니다. 몇 년전에 걸었던 두오모 광장이 다시한번 떠오릅니다. 스케치도 그 어떤 기록도 없지만 내 머리속 어딘가에 자리하고 있음을 압니다. 바로 스케치를 하지 않았지만 사진으로 그리고 내 두 눈으로 담아온 그곳을 이 책을 통해 다시한번 떠올려봅니다.  

 

 

 

본격적으로 도시를 만나봅니다. 위에서 바라본 도시는 지도를 연상하게 됩니다. 파리와 도쿄 그리고 뉴욕을 만나면서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도시 구조에 대해 알아갑니다. 도시도 자연의 하나입니다. 그래서 자연 속의 도시 풍경을 담은 시간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집 근처에서 자연을 느끼기에는 거리가 있지만 조금만 걸어나가면 자연 속 도시, 도시 속 자연을 만날 수 있습니다. 스케치하지 않고 두 눈으로 담고 지나쳤지만 말입니다.

 

건축 스케치, 도시 스케치 아니 모든 스케치에서 원근법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아니 중요하기에 항상 기본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건축 스케치 노트>에서는 미스 아이에게서 '원근법의 원리'를 배워봅니다. 수평선과 수직선을 비롯한 주요 선과 전반적인 틀을 배우는데 문득 수학문제를 푸는 듯한 느낌에 사로잡혀 멈짓멈짓하게 됩니다. 다행히(?)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미스 아이가 알려주는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됩니다. 울타리, 바닥 타일, 기둥과 타원 등을 원근법에 따라 배우면 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 자주 하는 실수와 조심해야 할 함정에서 설명하고 있으니 잘 기억하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건축 스케치 노트>를 마무리하며 원근법의 상세한 설명을 더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 원근법을 한 장의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으니 오히려 원근법은 이 부분을 참고하는게 더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건축 스케치 노트>에서 건축을 스케치 하는데 건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 것입니다. 기본적인 건축 지식은 이미 원근법을 배우면서 배운 것도 있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줍니다. 건축 자재에 따라 다양한 건축물을 만날 수 있다는 것과 거리, 집, 창문, 문화 공간 등 도시 속에서 만나는 다양한 도시 건축물을 스케치로 담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누군가는 도시를 떠나고자 합니다. 또 누군가는 반대로 도시로 들어오려고 안간힘을 씁니다. 그 도시에는 사람이 머물 것입니다. 살아 있는 도시는 누군가는 떠나고 누군가는 다시 돌아옵니다. 이런 도시를 있는 그대로 스케치에 담아보고 싶습니다. 스케치로 담아보고 싶다면 아니 조금 잘 담아보고 싶다면 <건축 스케치 노트>에서 힌트와 노하우를 배워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당장 스케치할 시간이 없다면 한 장의 사진과 사진을 기억할 수 있는 간단한 메모를 담아두면 나중에 스케치할 때 좋을 것 같습니다. 사진으로 기억하는 것과 스케치로 남는 것은 서로 다른 공백을 채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도시를 담을 수 있는 또하나의 방법이 있음을 기억하며, 종이에 스마트 기기에 기쁨으로 채우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