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레바퀴 아래서
헤르만 헤세 지음, 김재혁 옮김 /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3년 1월
평점 :

과거에나 오늘날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도 수레바퀴 아래 깔리는 학생들은 많을 것 같습니다. 어디 학생뿐이겠냐마는 학생에게 더욱 초점을 마춰놓은 <수레바퀴 아래서> 를 통해 이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의 영혼의 방황을 만나봅니다. 주인공 천재 소년 한스 기벤라트를 통해일방적인 교육 시스템이 천재들뿐만 아니라 우리네 청소년들을 무거운 현실 앞으로 내보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이 가고자 하는 길이 있는 것처럼 주인공도 자신의 길을 가고 싶지만 기성인들은 다른 길로 이끌고 있습니다. 수레바퀴는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어주어야 제대로 나아가는데 그냥 수레바퀴 아래 깔리도록 밀어부치는 것 같습니다.
전혀 의심할 것 없이 재능을 타고난 아이 한스 기벤라트. 천재 소년 한스는 기대 속에 입학하고 창백한 얼굴로 신학교에서 자퇴하기까지 자신의 길 보다는 누군가의 길 속에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자아를 찾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하는 버림받은 존재처럼 느껴지는 자신에 대해, 누군가를 향한 별을 찾아 나서는 한 마리 길 잃은 양인것 같기도 합니다.
세상의 모든 삶과 모든 청춘이 소중하고 유일한 자기를 찾고자 할 때 좀 더 현명한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남들보다 왜 앞서야 하는지, 무엇이 이들을 그렇게 만드는지 한스 자신도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도 스스로 알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누구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한스는 스스로 모릅니다. 어쩌면 나도 그런 청소년 시기를 지나온 것 같아 마음이 안쓰럽습니다. 천재 소년이던 그렇지 않던 모두가 소중한 삶인데 말입니다.
<데미안>과 함께 자서전적 요소가 많이 가미된 느낌을 받았는데 해설을 보며 더욱 그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유년기 시절 자신의 행적을 소설 속에 듬뿍 담아놓은 것 같습니다. 짧은 문장의 <데미안>에 비해 긴 문장으로 인해 좀 더 집중을 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헤르만 헤세가 이 작품을 남긴지 110여년이 지났는데데 불구하고 이 시대의 학교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그리고 얼마전 종영한 텔레비전 드라마 <학교2013>가 생각나는 한 편의 소설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