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흑백의 행성에서 - 구름이 가린 그림자를 밟다
최조은 지음 / 보민출판사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하수경. 그녀의 직업은 칼럼리스트 입니다. 그녀는 자신의 시 '흑백의 지경'을 그저 넋두리로 몇 줄 적었을 뿐이지만, 그녀가 담고 있는 글을 통해 위안을 받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녀는 정신적 외상으로 인해 인지기능왜곡현상이라는 특이한 병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 책의 제목 <흑백의 행성에서 - 구름이 가린 그림자를 밟다>를 조금 설명하고 있는듯 합니다. 눈은 정상이지만, 눈으로 담은 세상을 뇌가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기에 그녀에게는 세상이 흑백으로만 보입니다.
한 통의 전화에서 한 장의 사진으로 이어지는 전계는 그녀가 흑백의 세상에서 다시 자신의 색깔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녀는 두려워 합니다. 두렵지만 그녀는 자신의 타이밍에 대한 생각에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한 장의 사진 '탄생6'은 이야기의 중심에 있습니다. 세상 모든 것이 흑백인데 오로지 '탄생6'만이 자신에게 색깔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사진 '탄생6'은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장소 100선'에 들어가기도 했던 미국에 있는 '바운드리워터'란 곳에서 촬영된 작품입니다. 바운드리워터, 물의 경계, 하수경. 저자는 이렇게 하나, 둘 독자들에게 집중 할 수 있는 단서들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이쯤에서 잠시 생각에 잠겨봅니다. 그리고 그려봅니다. 이야기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이 되겠구나!하고 말입니다. 그녀가 편집장의 의뢰를 받으면서 찾아갔던 병원에서 블랭크스폿이라는 단서를 독자들은 이미 받았을 것입니다. 추리 소설이 아니면서도 어떻게 진행이 될 것인지 나름 생각해보게 만드는 재미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탄생' 시리즈에 대한 이야기를 정점으로 저자가 들려줄 다음 이야기가 점점 더 선명해지는 것 같습니다. 블랭크스폿의 가려진 세계가 열리는 것 같습니다. 그녀는 어둠과 빛이 만나는 순간을, 노을을 만난 것 같습니다.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블랭크스폿은 존재할 것 같습니다. 구름이 가린 그림자 처럼 말입니다.
"빛이 외로우니깐 밤이 찾아오는 거라는 말? 그래서 노을이 오기 직전이 원래 가장 외로운 법이라고. 노을은 말이야, 외로움의 끝이고 새로운 만남의 시작이고 어둠과 빛이 드디어 만나는 순간이란거 말이지." - p. 277 ~27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