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 자연학자 이브 파칼레의 생명에 관한 철학 에세이
이브 파칼레 지음, 이세진 옮김 / 해나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철학자이자 자연학자인 이브 파칼레의 <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와 함께 과거 아니 우리 인류가 말하는 태초 혹은 무에서 유의 창조의 시작인 '최초의 순간'으로의 여행을 떠나보았습니다. '제로 시점'인 빅뱅을 시작으로 우리가 말하는 우주와 은하 그리고 행성들과 지구의 탄생을 지켜보았습니다. 또한, 막바지에는 우리의 조상을 살짝 옅보기까지 합니다. 

 

 

 

 이 책은 이브 파칼레가 말하는 오랜 벗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철학자의 호기심과 과학자의 논증으로 오늘 날이라는 현재의 시점에서 다시 쓰고자 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과학적, 철학적 접근과 더불어 시적인 표현으로 들려주는 창조에 대한 늬앙스는 함축적인 의미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함과 동시에 독자들에게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저자와 함께 과거로의 여행에서 인상적인 부분을 뽑으라고하면 너무 많지만 그중에서 하나를 골라보면 아래의 문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문장을 곱씹어 읽고, 또 읽게 되며, 생각하고 더 생각하게 만드는 문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거창하게 빅뱅이니 우주 만물이니 보다는 지구라는 단어가 더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내가 잠시 머물다 가는 곳이고, 우주에서 보면 티끌도 되지 않는 인간이기는 하지만, 지구는 또 다른 단계로 진입할 것이고 거기에는 인간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지구는 처음 상태에서 벗어나 또 다른 단계로 들어선다. 이전의 지구에 가능했던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을 이제는 만들 수 있다." - p. 270

 

 

 

이 책은 보통 만나는 책과 표지부터 남다릅니다. 책을 세로로 빨간색 띠지와 함께 "태초에 아무것도 없었다. 아무것도 없었지만 모든 것이 있었다."가 이 책을 사로잡게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최초의 순간' 이라는 제로시점이 있기는 한지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상당한 책 분량 보다는 낮은 상식에서 만나는 단어들과 지식으로 인해 책읽는 진도가 상당히 더뎠습니다. 분명 종교적, 과학적, 철학적 접근을 잘 할 수 있다고 말하지는 못하지만, 이 책을 통해 우주에 대해, 탄생에 대해 그리고 지구에 대해 생각의 폭은 넓어지고, 깊이는 조금 더 깊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