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
이의수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나이 마흔을 우리는 흔히 '불혹' 혹은 인생의 반환점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마흔을 불혹이 아닌 '부록'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런 말을 하고, 글을 쓰는 나도 똑같은 '부록'과 같은 사람이 아닌가 싶습니다. 서른을 앞두고 이십대 마지막을 지날때가 엊그제 같은데... 서른이라고하면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라는 노래가 떠오릅니다. 이 책의 저자도 같은 생각이였나 봅니다. 머리말을 쓰며 같은 생각을 했나봅니다.
이 책의 제목에서 나를 찾을 수 있는 나이가 되어버렸습니다.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라는 제목으로 이 책을 처음 알게되었을 때, 가슴이 무겁게 내려 앉는듯한 느낌이였습니다. 아플 수도 없다? 그런가? 그렇다! 라는 혼자만의 결론으로 책을 펼치기도 전에 가슴이 아팠습니다.
넋두리와 같은 스토리텔링으로 마음을 무겁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고는 짧은 명언으로 핵심을 짚어줍니다. 무엇보다 멘토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마흔을 지나가는 처세술과 방법론을 풀어 들려주고 있습니다.

언론보도 내용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일종의 조루현상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를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환경과 역할의 모습이 비슷할때 이런 현상을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고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나'를 찾는데서 정답은 아닐지 모르지만 그에 가까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뻔하다고 말할수도 있지만, 그 테두리 안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삶이 나를 힘들게 합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삶을 회피하거나 도피하기 위해서 책으로의 여행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내 인생의 빚이 지금도 불어나고 있는지, 아니면 서서히 빚이 사라지고 빛이 밝아오는지 그 어디쯤에 내가 있을텐데 아무것도 찾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다보니 나를 더욱 가슴아프게 만듭니다. 그런데 또한, 나를 그것에서 꺼내주고자 한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몇 해 전부터 집안 어른들과 아이들의 생일과 기념일만 챙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그게 아니였나봅니다. 내가 가장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어른들과 아이들이지만, 바로 옆에 있는 소중한 사람과 그 무엇보다 소중한 '나 자신'에게도 조촐한 선물을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만으로 40세가 되면 보건복지부로부터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으라는 우편물이 날아온다. 마흔이 넘으면 건강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면서 검진을 받게 해주는 제도다. 바로 마흔이라는 나이가 나라에서 인정하는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인생의 전환점'인 것이다. 서글프지만 겸허히 받아들이자. 마흔은 그럴 나이다. - p. 161
나는 실패가 두려워 너무나 많은 것을 잃었던 것 같습니다. 그것에 대한 답을 모르는 것도 아니였는데, 그것이 답이 아니였나 봅니다. 가장 큰 실패에서 더 큰 실패로 넘어가는 것은 바라지 않습니다. 그 누구도 원치 않을 것입니다. 어렵지만, 이제 결정을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패하는 사람은 실패하지 않는 사람보다 빨리 배운다. 가장 큰 샐패는 실패하기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이보다 더 큰 실패는 스스로를 실패한 사람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 p. 130
마흔의 많은 이야기에 공감합니다. 아버지와 아내의 이야기에서는 특히나...
그 어떤 종류의 아버지가 되었건 우리는 이제 아버지가 되었다. 가족을 위해 자신의 꿈을 뒤로 미루는 가장이 된 것이다. 마흔의 어깨 위에 올라앉은 가장이라는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아침 일찍 일어나 즐겁지도 않은 일터로 나가는 이유도, 낯선 사람을 만나 자신을 팔아야 하는 이유도, 자기보다 어린 사람에게 몸을 굽혀야 하는 이유도 다 자식들과 가족을 위해서다. - p. 234
에필로그에서 '지난 세월이 아름다웠듯이 우리의 미래도 아름다우리'라는 글이 그냥 좋은 글로만 남지 않고, 내 삶의 남은 인생에 현실이 되도록 반환점의 이 시기에 다시한번 준비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아플수도, 아파서도 안되는 나이가 되어버렸다는 것에 실감을 합니다. 누군가는 이미 지났고, 누군가는 지나갈 것이지만, 나는 지금 이 길을 가고 있습니다. '부록 인생'이 아닌 내나이에 내가 할 수 있는 나만의 삶을 위해!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를 통해 마흔에 대한 생각을 재조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이 순간 내가 할 수 있는 그 일을 하려 합니다.

**************************************************************************
"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