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조정래님의 소설 <황토>가 37년 만에 장편소설로 재탄생하여 '정본' <황토>가 되어 우리 곁으로 다가왔습니다. 이 책 <황토>는 시대가 변해도 사람의 감정에 대한 깊은 마음과 알 수 없는 사람의 가는 마음의 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대를 거슬러 올라 지난 세월을 돌이켜 보며 들려주듯 저자는 '점례'의 삶을 통해 시대의 어머니와 딸 그리고 한 여자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와 과거 그리고 다시 현재 시점을 이어주는 다섯 가지의 주제는 첫 번째 주제 '탄생의 비밀'처럼 이 책 <황토>가 가지고 갈 삶의 무게와 생각의 깊이를 찾아보게 만듭니다.

 

일제 말기부터 해방 전후, 그리고 한국전쟁이라는 시대는 한 여자와 세 남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나라와도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제강점기 시대의 일본과 해방을 맞이한 대한민국 그리고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국이 바로 이 책에서 점례와 떨어질 수 없는 세 남자 입니다.

 

힘의 균형 그리고 남과 여의 균형에 대한 생각이 떠나지 않는 소설이였습니다. 힘을 지배할 수 있는 것이 또다른 힘인지 아니면 권력의 힘을 누룰수 있다고 하는 펜의 힘인지 그렇지만 그 어떤 것도 시대를 어우르는 힘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미움과 정 아니면 흔히들 말하는 사랑과의 관계를 야마다가 야반도주를 한 이후 그의 물건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면의 '점례'를 통해 알 수 없지만, 한편으로 알것도 같은 그 마음을 내가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분명 사랑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정은 아이와의 끈이 아닌가 싶습니다. 

 

 

 



 

 야마다의 물건들을 무작정 태우거나 묻어버리면 야마다가 어떤 변을 당하거나, 무슨 사고가 일어날 것만 같은 무서운 생각이 엄습했던 것이다. 어머니가 어처구니없어하는 것 이상으로 지긋지긋하고 징글징글한 사람이 야마다였다. 그런데도 그에게 무슨 탈이 생길까봐 옷이며 소지품을 태우지도 묻지도 못하는 마음은 또 무엇일까. 자기 속에 든 자신의 마음이 왜 그러는 것인지 스스로도 알 수가 없었다. - p. 101 '안 보이는 흠' 중에서

 


 

  

 

남과 북을 보여주는 이념은 두 번째 남자 '박항구'를 통해 옅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좌와 우는 결코 '점례'의 선택이 아니였던 것입니다.

 

정이라는 것이 시대보다도 앞서있고 끈끈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문장을 만나게 됩니다. 사랑과는 또다른 내면의 끈끈한 힘 '정'을 들여다 볼 때는 아마도 이것은 다른 정 보다는 '아기'가 이어주는 '정'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12월 중순이 가까워 프랜더스는 전방 지역으로 출장을 떠났다. 1주일 예정이었다. 그런데 열흘, 보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싸움이 한창인 전방에서 무슨 사고라도 난 것이 아닐까. 별 걱정이 다 되었다. 애를 낳은 다음부터는 프랜더스에게도 그전과는 확연히 다른 정이 쏠리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 p. 246 '드러나는 흠' 중에ㅓ

 


 

 

 

 

 

 

 

 

 

 

 

 

부부간의 싸움처럼 남과 북의 전쟁은 '점례'에게 있어 모두 어이없고 이상한 싸움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긴 쪽도 그렇다고 진 쪽도 없는 소모적인 싸움을 위한 싸움이였던 것입니다. 그녀가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이였을까. 생각해 봅니다. 

 

인간답게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점례'의 삶이 그 인간과 어느정도 멀거나 가까이 있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잔잔한 파도 소리를 듣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