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운오리새끼, 날다 - 신경정신과 전문의 양창순의 인간관계 멘토링
양창순 지음 / 좋은생각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내 마음을 얼마큼 열고 있을까? 나는 누군가를 만나고 헤어짐에 있어 내 마음을 얼마만큼 열고 있을까? 그리고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할까? 내 마음을 열지않고 상대의 닫힌 마음의 문을 열기를 바라는 것은 놀부 심보 그 이상일 것이다.
지금 현재에 만족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우선 나부터 이야기 한다면 난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변화에 뒤쳐지지 않도록 진화하려고 애쓰고 있다. 가끔은 내가 무엇하려고 이러나 싶기도 하지만 세상은 날 가만히 두지 않는듯 하다. 우리 주위에 일어나고 있는 것들 중에 머리와 마음 중 어느 쪽에 더 신경을 많이 쓸까?

이 책 <미운오리새끼, 날다>는 가슴 따뜻한 카운슬러의 세상 사람들과의 소통을 들려주고 있다. 어쩌면 나의 또다른 모습이 내가 카운슬러에게 도움을 받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냥 주어진 환경대로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이런 고민을 사춘기에만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사춘기 이전부터 사회생활 그리고 그 이후까지도 계속 혹은 가끔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거나 받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지금의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받을 수도 있다. 도움을 받는 것이 무조건 나쁘거나 불편한 것일까? 본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생각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것은 자신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 내용 중에는 동화나 이솝우화 같이 이미 많이 아는 내용을 들려주며 카운슬링을 하고 있다. 이미 답은 내 안에 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다만 용기가 부족하거나 표현이 부족할 뿐이다. 이를 이끌어 주는 사람이 바로 카운슬러 라고 생각한다.
사랑에 대한 내용이 상당히 많다. 애절한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애절함을 다시한번 보게 된다. 과학적인 근거도 들려준다. 사랑한다면 마이너스 마인드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아니면 함께 가지고 가도 좋을 것 같다. 물론 가지고 간다면 그것 까지도 사랑을 해야겠지만 말이다.

저자의 직업이 '신경정신과 전문의'라서 더욱 전문적일수도 있지만 일반인이 쉽게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카운셀링하고 있다. 어쩌면 옆집 형처럼 또 나만의 멘토처럼...
변화를 두려워 하지 말자. 그리고 포기하지 말자. 나 스스로 내 삶을 이끌어 나가는 주인공임을 잊지 말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변화하고자 하는 나를 더욱 성장시키기 위한 멘토의 역활을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