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어린 시절을 말하다 - 유년의 상처를 끌어안는 치유의 심리학
우르술라 누버 지음, 김하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1월
구판절판


어린이와 어른의 차이는 무엇일까? 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는지 궁금하다. 그냥 아무 생각이 없었거나 혹은 뭘 그런것을 생각하는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흔히 말하기를 어른이라고 모두 다 어른은 아니라고 한다. 그것이 무엇을 말할까? 또 부모라고 다같은 부모는 아니라고들 한다.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사람마다 겪어온 유년시절이 모두 다르고 환경도 다른데 어떻게 같을 수 있을까 말이다. 그렇지만 이 책은 유년시절이 특정한 패턴으로 보냈다고 해도 결국 어느 관점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삶의 패턴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 만나본 책은 <심리학이 어린 시절을 말하다>이다. 이 책에는 이름만으로도 너무나 유명한 인사들이 나온다. 그들의 어린시절과 어른의 모습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일반인 대상의 내담사례를 통해 유년시절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이 어른이 되어서도 벗어나지 못하거나 상처에서 벗어나 해옥한 성인으로 살아가는 방법들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사랑'이 기본이 되지만, 그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이 너무나 많은것 같다. 사랑을 받는 것은 자녀의 권리 임에도 불구하고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어린이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제대로 행사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그것은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부모와 그 주위의 환경 때문일 것이다.


지금의 세대에 아이를 소유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아니 그렇게 믿고 싶다. 만약 아직까지 아이들을 소유물로 생각한다면 아이들은 자신을 찾는 경험을 다른 아이들보다 늦게 찾거나 아예 찾지 못할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을 찾는 소중한 경험을 이 시대 아이들은 모두 가져야 할 것이다.


축복받으며 태어난 왕자와 공주가 어느날 개구리로 변했다면 그것은 누구의 책임일까? 아직 성숙하지 못한 아이들에게 있어 이러한 것들은 부모나 주위 환경과 어른들의 책임일 것이다.



과학자와 심리학자들마다 주장하는 바는 모두 다르다. 자신들이 실험하고 경험했던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주장이 옳다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은 두가지 입장을 모두 중용하는 것 같다. 이 책에서 좋은 점은 중용을 지키지만 그래도 결론을 내어 준다는 것이다.


이 책은 후반부로 다가갈수록 관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고 있다. 남들과 다른 어린시절을 보냈다고 해서 어른이 된 삶을 망칠수도 있다는 것과 반대로 그것을 극복하여 한발 더 나아가는 삶을 살아가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사례를 통해 들려주고 있다.



관점을 달리하는 법을 배우면 과거를 다루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어쩌면 현실에 안주해서 더이상 앞으로 전진을 하지 않을수도 있고 그것이 싫을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자신의 삶이 어린시절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면 바꿀 수 있다는 것에 힘을 실어준다. 관점을 바꾼다고해서 과거가 변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 과거를 바라보는 방식이 바뀌기에 앞으로의 삶의 질이 바뀔수 있다는 것이다.




관점을 들여다 보고 바꾸고자 할 때 우리 자신과 내면아이에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결국 시도해보아야만 조금의 변화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누구나 알고 있다. 바꿀 필요도 없고 바꾸고 싶은 생각이 없다면 모르지만 그런것이 아니였다면 혹은 시간이 지나서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면 기억해두면 좋을 것 같다.



우리 자신과 내면아이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에 대해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