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탐구생활 두근두근 과학 탐험
루이 스토웰 지음, 이충호 옮김, 피터 앨런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과학도서를 좋아하다 넘쳐 사랑하는 큰아이 덕분(?)에 함께 과학도서를 종종 읽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특히 큰아이가 좋아하는 과학도서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우주에 관한 책으로 공룡과 함께 좋아하는 책이였습니다. 이 책 <우주 탐구 생활>이 도착한 후 큰아이가 '와~ 재미있겠어요'를 외치며 먼저 읽기 시작을 합니다. 큰아이는 책을 좋아해서 항상 책을 끼고 사는데 그중에서도 과학책 그것도 우주에 관한 책이니 더할나위 없이 무척이나 들떠 읽기 시작합니다. 조금 어려운 내용에 대해서는 물어도 보며 자기가 알고 있는 내용이 상당히 있었는지 질문이 그다지 없었습니다. 가끔 신기한 내용에 대해 함께 보자며 펼쳐 보이는 아이를 볼 때 책을 참 재미있게 읽는구나 싶었습니다.

 

'용골자리 성운'의 이미지와 함께 이야기는 시작을 합니다. 밤하늘의 별자리와 천문학에 대한 이야기, 우주와 행성에 대한 이야기, 무궁무진한 수수께끼를 담고 있는 우주에 대한 치열한 경쟁과 생활 이야기 그리고 '우주의 시작과 끝' 이라는 이야기로 본론을 마무리 하고 있으며, 천문학의 역사를 간단명료하게 연대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별을 지켜보는 자리에 따른 계절별 별자리를 보여주며, 이야기 중간 중간에 용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우주 무한 경쟁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우리의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그 무한 경쟁에서 선두에 있는 몇몇 나라들 만이 우주를 통해 과거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미래의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수 있는 것은 지금의 경재뿐만 아니라 우주에서 그 희망을 찾아야 한다고 봅니다. 이에 우리나라도 우주 과학에 꾸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과학 위성과 함께 상업 위성들을 우주에 쏘아 올리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 <우주 탐구 생활>은 무한한 가능성이 열려있는 우주를 향한 미래 꿈나무들이 그 꿈을 펼칠 수 있는 무한 공간이 될 것입니다. 그 꿈을 가지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는 기본 교양서로 매우 다양하고 접근하기 쉽게 펼쳐 놓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암스트롱이 달에 첫 발을 내 딛는 순간은 인류가 우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 우주인을 꿈꾸는 어린이가 많을수록 우주 과학의 미래는 밝다고 생각합니다. 책 한, 두권이 당장 과학자를 탄생시키지는 않겠지만 그 가능성을 키울수 있기에 어린이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해 놓은 책이 있다는 것이 참으로 좋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이해하기 쉽게 쓰여졌다는 것은 하나의 참고 사항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 가장 좋았던 점은 쉬우면서도 재미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우주에 관한 상식과 주변 이야기를 통해 어린이가 알아야 하는 사항에 대해 골고루 다루고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과학책이면서도 지루하지 않게 구성된 것이 아이의 손을 놓지 않고 읽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책을 멀리하는 어린이들에게는 부모가 무조건 읽기를 권하기 보다는 재미있는 구성으로 중간이나 부분 부분 읽어준다면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