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 영화를 만나다
김영욱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오늘 만나본 책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는 3년 전 출판된 '그림책, 음악를 만나다'의 후속편 입니다. 그림책과 음악의 만남처럼 이번에는 그림책과 영화가 만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의 장르는 에세이 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림책과 영화에 대한 서평 모음집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는 그림책을 선택할 때 혹은 그림책과 함께하는 영화를 선택할 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우리들의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그림책은 아이들이 보는 책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조금만 생각을 달리한다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입니다. 그림책은 아이들 뿐만 아니라 성인이 보는 영화나 소설 뿐만 에서도 얻을 수 있는 사회 전반적인 교훈과 변화 그리고 이슈에 대한 부분을 시대에 맞게 전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림책들은 소설이나 영화 혹은 연극과 같은 장르를 좀 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어른들의 시선에서의 그림책은 아이들 중심이라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라고 생각됩니다.

 
 



 

 

 

이 책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에서는 그림책의 소개와 함께 그와 함께 할 수 있는 영화를 선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장르는 다르지만 함축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책이나 영화는 삶이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피어나는 강인한 꽃이 되어 우리들 곁에 있습니다. 사막의 오아시스 처럼 그림책이나 영화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꼭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어둠 속에서 찾아내는 빛 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어둠도 필요하지만 빛 또한 필요로 하니까요. 과거에서 현재를 지켜주었고 미래를 밝혀줄 빛이 되는 것은 그림책이나 영화같은 문화일 것입니다.   

 

'존 버닝햄'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그의 그림책으로 세계 어느 곳,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어린이도 이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림책의 담아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 아닐까 생각을 해봅니다. 

 
 



 

 

 
그림책을 보는 시간이나 권 수가 어렸을 때 보다는 적지만 지금도 그림책을 놓을 수는 없었던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그림책을 보면서 나 스스로에게서 찾지 못했던 부분과 놓쳤던 부분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림책으로 이 가을을 맞이하는 것도 괜찮은 생각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