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5분 책읽어주기의 힘 -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짐 트렐리즈 지음, 눈사람 옮김 / 북라인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하루 15분, 책 읽어 주기의 힘>

 

지난해 책을 구입할 때 인터넷으로 원래 의도와는 다른 뜻으로 구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서 책을 읽는데 쉽게 읽혀지지가 않았습니다.

어렵게 어렵게 책을 모두 읽고 책장에 다른 책들과 함께 있었습니다.

 

그런데... 월요일 밤... 읽을 만한게 필요했습니다.

그렇게 찾던 중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하루 15분, 책 읽어 주기의 힘>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선 책을 어제 아침부터 책을 읽기 시작하고 방금 전 책을 읽고 서평을 올립니다.

 

 



 

 

이 책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하루 15분, 책 읽어 주기의 힘>에는 정말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니, 정말 힘이 있습니다.

제가 지난해 이 책을 처음 접할 때에는 좀처럼 쉽지는 않았습니다.

그냥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라는 막연한 생각에 골랐고 읽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와 다르게 다시 읽은 이 책은 너무나 다르게 다가왔습니다.

책을 한번 읽을 때와 다시 한번 읽을 때... 그 느낌이 정말 다르더라구요^^

그러면서 다른 언어에 대해서도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학생 때 영어를 배울 때 쓰는 것부터 배웠는데

지금은 그 방식이 잘 못 되었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말하더라구요.

제 생각에도 맞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서 더 확실하게 그 얘기가 맞다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부모님 이신가요?

정말 아이를 낳고 혹은 기르고 계시는 부모님 이신가요?

 

"부모가 되는 것은 시간을 더 들이고 투자하는 것이지,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아닙니다"라는

문장에서 많은 배움을 가져옴니다.

 

많은 부모들이 변명아닌 변명을 합니다.

회사 때문에...

일 때문에...

다른 아이 때문에...

주변 정리 때문에...

 

그래도 그 중에서 아이에게 가장 많이 투자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핑계는 이제 그만...!!!

부모 노릇을 제대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누구를 가르쳐 보신적 있으신가요?

누구에게 배워 보신 적은 있으셨죠?

저는 지금까지 누구에게 배워 본 것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일 때문에... 직업상... 가르침이라기 보다는 설명을 한 적은 꽤 많습니다.

 

 '아이들에게 읽는 법은 가르쳤지만, 책을 읽고 싶어하도록 가르치지는 못했다.'

동기부여... 라고 해야 할 것 같아요.

너무 쉽게 포기하지는 않으셨나요?

쉽게 포기하지 말고 끈기를 가지고 다시 해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동기부여를 통한 기회를 재생산 하는 겁니다.

 

 



 

 

 

일을 할 때도 동감하는 부분입니다.

즐거움을 주면 기회는 더 많아지지만,

괴로움을 준다면 기회만 잃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잃는다고 봅니다.

 

이 책을 읽으면 이미 알고 있는 것.

알았으면 하는 것.

아쉬웠던 것.

꼬~옥 기억해야할 것.

 

함께 '읽기'라는 제품을 심어줄 수 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영화나 게임처럼 중독이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행복하고 즐거운 중독인 것 같습니다.

 

우리 함께 행복하고 즐거운 세상으로 같이 가요.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시고, 읽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 것인가를 알려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