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칠한 김작가의 시시콜콜 사진이야기
김한준 지음 / 엘컴퍼니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은 누구에게나 필수 품목이 되어버린 디지털카메라. 일명 디카라고 하는 것들을 하나씩은 가지고 있다. 혹은 핸드폰의 발전에 따라 누구나 성능 좋은 디지털카메라를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한대 이상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책 <까칠한 김작가의 시시콜콜 사진이야기>의 작가 '김한준'이 까칠한 사람인지 그를 가까이 하지 않는 이상 모를 것이다. 또한 가까이 한다고 해서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이 전부라고 하기에는 편협한 생각이라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스스로를 까칠하다고 생각하는 작가, 김한준. 그의 시시콜콜한 사진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았다. 그가 까칠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하는 성향은 나와는 아무 관계가 없으며 알고 싶지도 않다. 다만 그의 시시콜콜한 사진이야기만이 나의 관심 대상일 뿐이다.

 

책을 펼쳐 몇장 넘기지도 않았는데 그가 말하는 좌뇌와 우뇌에 대해 사진의 예를 들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사진은 우뇌 활동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자극하는 감동을 받으려면 원하지 않아도 좌뇌의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뇌의 조화가 있어야 정작 비중이 큰 우뇌의 활동이 원할하다고 하는 것이다. 사진의 출발은 그 조화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나 역시 그의 말에 동의하는 바이다.

 



 

 

자칭 까칠하다고 하는 그가 사랑하는 카메라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그는 사진 작가를 직업으로 하고 있는 사람이다. 그렇기에 그는 그의 수입에 전적으로는 아니더라도 그것을 무시하거나 포기할 수 없을 것이다. CANON 1DS MARK III 가 그의 수입 70% 이상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물론 그는 직접적으로 사랑하는 카메라와 순수한 작가로서의 카메라를 모두 사랑하고 있으며 지금은 사용하지 못하는 카메라도 소중히 여긴다고 한다. 그가 사랑하는 카메라를 살펴보고 싶다는 서점에서 아주 잠깐 짬을 내어 책을 들쳐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 같다.

 



 

 

카메라의 성능이 발전가 더불어 인화기술과 디지털 모니터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사진을 찍고 선택하는 입장에서 대부분 평준화의 수준에 와 있다고들 한다. 그렇다면 사진은 어떻게 촬영하여야 할까? 작가는 '손가락이 아닌 가슴'으로 '카메라가 아닌 눈'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카메라에 의존하는 아니 현대 과학 기술에 의존하지 말고 무엇을 보고 무엇을 담고 싶은지를 느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단순히 보이는 것을 담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그보다는 좀 더 깊이 있는 사진을 얻고자 한다면 그 이상을 볼 줄 알아야 한다고 이야기 하는 것 같다. '피사체는 그저 거기 존재할 뿐이고 나는 지금까지 그것을 비추는 빛을 담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라고 그가 고백한 것 처럼 말이다.

 



 

 

사진을 지배하는 주색이 있다고 한다. 우리 자신을 지배한는 무엇인가가 있듯 사진에도 그러한 것이 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주색이란다. 자신만의 색을 찾아야 할 것 같다. 자신의 색을 찾아 그 색에 자신이 담고 싶은 것을 추가해야만 될 것 같다.

 

그는 사진의 의미를 '사진을 찍어 기록하고 보존하는 것이다.' 라고 말한다. 여기서 보존이라고 말하는 것은 하드디스크나 플래쉬메모리가 아닌 사진의 본연의 모습을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까칠하다고 하는 그는 까칠하기 보다 자신의 일에 충실한것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이 되어 있으며 자만심이 아닌 자신감으로 충만한 그의 사진 사랑이 그의 사랑을 기록하고 보존하는데 힘쓰게 하는 것 같다. 

 



 

 

그가 말하는 보존이란, 이렇게 '사진'으로서의 '사진'을 말하는 것 같다. 수없이 다가오는 모니터의 이미지들이 아닌 카메라 안의 메모리에 담겨만 있는 것이 아닌 보여지는 그모습 '사진'으로서의 '사진'을 그는 추구하는 것 같다. 그가 생각하고 있는 사진에 대한 사랑이 내게는 무척이나 부족한 것을 알고 있다. 내게는 '사진'이 '사진'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한체 다만 언젠가 빛을 보며 그 빛으로 자신의 빛을 표현하는 그 날을 기다리고만 있다.

 

그는 말하길 '사진은 생각하고 촬영하고 인화하여 액자에 정성스레 넣고 벽에 걸어 놓고 보는 것이다.' 란다.

 

이제 나의 그 빛을 보고자 하는 것들을 '사진'으로 남기고 싶다. 오늘 하루 '사진'에 대한 생각이 많아진다. 벽에 걸려있는 아이의 돐사진부터 앨범 속에 담겨있는 추억들이 새록새록 내 눈에 새로운 공간과 기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자신의 사진이 사랑을 받기도 하고 미움을 받기고 한다고 한다. 그 사진을 사랑하는 사람이 있기에 본인은 자신들의 사진에 더욱 애착이 간다고 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할 수 있고 글로 남길수도 있다. 다만,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고 해서 그것이 틀렸다고 하면 그것은 옳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사진에서 말하는 옳고 그름이 단순히 산수 계산과 같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해야 될 것이다.

 



 

 

당신이 좋아하는 사진이 당신에게 가장 좋은 사진입니다. - p. 306

 

오늘 나는 까칠하다고 생각하는 그를 통해 '사진'을 배웠고, 그 사진 속에서 사진 보다 더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까칠한 김작가의 시시콜콜 사진이야기>는 사진 실무서나 지침서가 아니다. 그렇게 생각했다면 당장 다른 책을 찾아보는 것이 빠를 것이다. 그렇지만 '사진'에 대해 더 알고자 한다면 조심스럽지만 추천을 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