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줌마, 지중해에 빠지다 - 화가 이인경의 고대 도시 여행기
이인경 지음 / 사문난적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줌마, 지중애에 빠지다.

책 제목에서 아줌마로서 살아온 연륜을 자랑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아줌마가 지중해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은 얽매이는 것 없이 자유로워질 때 가능할 것일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

아줌마로서의 존재감은 동경의 대상으로 다가온다.

나도 아줌마다. 돈도 없고 시간적 여유도 없고, 돌봐야할 아이들도 있는 직장까지 다니는 숨가쁘게 살아가는 아줌마, 엄마, 여편네, 여자이다.

50세의 나이에 나도 저런 호사스런 경험을 할 수 있을까?  시기심도 오른다.

지중해 하면 머리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눈부시게 푸른 바다와 하늘 그리고 뜨거운 태양, 푸르름과 조화를 이루어 눈이 부시도록 하얀 건물이다.

여기서 영화 지중해의 포스터를 감상해보자.



 

내가 가지고 있는 지중해에 대한 이미지는 오래전에 보았던 "지중해'란 영화의 잔상이다.

 

이 책의 표지도 내가 생각했던 그 이미지였다.

지중해하면 그리스가 떠오른다. 지중해를 끼고 있는 나라가 이스라엘과 이집트등이였던가?

작가는 그리스, 이스라엘, 이집트 여행을 이야기 하고 있다.

간간히 목차에서 신앙을 가진 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줌마 특유의 수다 정도로 봐주면 좋겠다고 했으나 읽는 내내 같이 즐겁고 신났다.

동경을 불러일으키는 기행문과 깔끔한 수필을 느낄 수 있다.

혼자서 지중해를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여행을 한다는 것은 일종의 의식과도 같다. 나도 그런 의식을

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많이 준비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여행을 통해 내가 세상의 중심임을 느낀다고 한다.

글들은 사물을 그냥 보아 넘어가지 않고 많은 생가과 사색과 의미를 두고 느끼는 작가의 섬세함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그리스 예술품을 묘사한 부분에서는 예술가로서의 열정과 심미안등이 보였고

음식들을 묘사한 글과 그림에서는 소박함과 담백한 느낌을 받았다.

 

 

예수의 고장 이스라엘에서의 종교의 이야기가 빠질 수 없었다.

작가가 자칭 기독교인보다는 교회에 다니는 사람에 가까운 사람이라고 했듯 나 역시

끄덕끄덕

그 성지를 둘러보고 난 후 성경을 읽는 맛이 확실히 달라졌다고 한다.

큰 기대감에 미치지는 못하였다는 고백이 공감이 간다. 나라도 그랬을 것 같단 생각이 든다.

여행이야기를 하다가도 가족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아줌마 특유의 수다스러움이 묻어 난다.

특히 어머니의 열등감 이야기는 나도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찔리는 이야기 였다.

항상 내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그 열등감은 대대로 물려받은 어머니의 유산이며 내가 내 자식들에게

물려줘서는 안될 것들이다.

 

마지막 에필로그에서 난 웃음이 나왔다

책이 나온 반응을 보고 사촌동생분의 반응으로 언니 이거 쓴 목적이 뭔데? 라고 했다고 한다.

그에 대한 답으로 수다 떨고 싶어서 쓰고 싶어서 썼다고 한다. 정답 알아내려고 앞뒤 맞춰가며 분석하지 말고

그냥 재미있게 읽어주렴. 너 나랑 얘기하는거 좋아하잖아 라고 너스레를 떤다.

ㅎㅎ

저자는 나랑 성격이 비슷한 것 같단 생각을 하며 공감하며 재미있게 읽었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