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호! 춤을 추자 - 우리춤 야호! 신나는 체험 시리즈 3
이야기꽃.김지원 지음, 이지원 그림, 김찬복 사진 / 청어람주니어 / 2010년 3월
품절


야호 춤을 추자




이 책은 우리나라 춤을 집대성한 자료이다.

정말 이런 책은 소장가치가 있을 법할 정도로 공과 정성이 들어간 책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춤에 대해서 누가 이렇게 자세하게 알려줄건가?

이런 소중한 책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춤 문화에 대해서 우리가 쉽게 알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야호 시리즈는 우리가 잃어 가는 것들을, 어린이 손을 잡고 체험할 수 있는 시리즈이다.

다른 내용의 책들에게도 관심이 가는것은 당연하다.

시리즈로 01. 야호! 난장판이다. 02.야호! 돈이다. 03. 야호! 춤을 추자 04. 야호! 놀자 05. 야호! 장 담그자. 우리가 알아야하는 전통 문화를 다루고 있다.

야호 춤을 추자 이 책의 글을 쓰신 이야기꽃님은 출판, 공연, 영상 전반에 걸쳐 이야기꽃을 피워가시는 분이고, 김지원님은 문학예술학을 공부하시고 무용기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으셨고 대학강의를 하며 교육자와 예술가의 길을 함께 가고 있는 분이시다.

그림을 그리신 이지원님의 독특하고 동화되는 듯한 그림은 친근하게 와닿기도 하고 독특한 감성을 느낄 수 있게 하기도 한다.

사진또한 무용계 공연사진을 촬영하면서 우리춤의 역사와 함께하신 김찬북님이 찍으셨다. 열정적인 사진을 통해 우리는 우리 전통춤을 고스란히 감상할 수 있게 해주셨다.



이야기꽃님은 이야기 형식으로 춤에 대해서 우리에게 전해준다.

춤의 기원인 몸짓은 문화와 관습, 풍습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마음속의 충동을 표현하고 미적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자기 표현의 수단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이 몸짓이란는 표현언어로 우리나라 민족들은 한을 풀기도 하고 정서를 나누기도 하고 이야기하기도 하고 기원하기도 하고 숭배하기도 한 것이다.



이 책에서 춤에 대한 소개는 크게 궁중춤과 의식춤, 민속춤, 신무용으로 나누어 이야기 해주고 있다.

궁중춤의 유래와 종류를 소개하고 있다. 궁중춤은 민속춤과 달리 형식과 절재를 강조하고 연회때의 춤으로 격식에 따라 춤이 진행된다고 한다. 생소했던 춤의 종류 춘앵전도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 앵삼을 입고 추는 궁중춤이란것은 처음 알게 된 사실이였다.

‘어디 한번 따라 해 볼까요’ 에서는 춤을 추는 방법까지 자세히 소개하고 있어서 아이와 함께 따라해 봐도 재밌을 것 같다.

다음으로 소개된 의식춤 의식춤은 종묘 제사때 추던 유고춤, 불교 재의식에서 비롯된 불교춤, 굿에서의 무당춤이 속한다고 한다. 우리 문화의 원형은 무속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어 인간의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을 극복하고자 추었던 춤이 의식춤의 원형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살풀이춤도 무당춤에 속한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속춤의 하나로서 이 사실하나만으로도 우리 문화속에 무속이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소개된 민속춤 민속이란 어원으로 봐도 알 수 있듯이 민속춤의 주체는 농민, 어민, 천민등 피지배계층이 추던 춤으로 한국인의 삶이 녹아들어있어 민족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민속춤의 본질은 참여라고 하여 춤꾼과 구경꾼의 경계가 없이 함께 어울려 하는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춤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정서와 한을 춤을 통해 내뱉기도 할 수 있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민속춤은 가면극이나 인형극등 해학과 풍자로 빚어지는 골계미를 느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개된 신무용은 한국적인 것에 대한 관심과 함께 서양의 새로운 무용을 받아들이면서 각색된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최승희의 춤이 바로 신무용이다. 신무용은 무대라는 새로운 관람 방식을 요구했으며 전통을 이어 받아 현대적인 춤으로 소화하며 한국춤의 정체정을 찾으려고 했다고 한다.

우리 나라 춤에 대해서 좋은 지식과 정보를 얻었다

앞으로도 우리가 잃어 가고 우리에게서 잊혀져 가는 것들을 어린이들에게 책과의 만남을 통해서도 체험할 수 있게 다양한 분야의 도서 시리즈가 연계되었으면 합니다. 청어람 출판사에 큰 기대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