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도노휴 지음, 유소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언젠가 세계를 떠들썩 하게 했던 사건을 모티브로 쓰여진 책이다.

그 사건이란 여자아이가 납치가 되었고 그 납치범은 뒷마당에 방을 만들어 그 아이를 감금 폭행 성폭행을 저지르고 결국 그 여자는 그 방안에서 출산까지 하게 되었다는 정말 소설에서나 등장할법한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나도 그때 뉴스를 접하긴 했지만 타국에서 벌어지는 엽기적인 이야기정도로 보았고 그냥 세상에는 이렇게 무서운 사람이 있구나 하는 정도로 넘어갔었다.

그러다가 룸이란 소설이 나왔고 나는 그때 잠시 스쳐갔던 사건을 기억하며 호기심에 펼쳐들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너무나 충격적이였다.

이 소설은 그 방안에서 출생한 아이의 시점으로 쓰여졌다. 만약 납치당한 당사자의 시점이라든지 아니면 제 삼자의 시점으로 쓰여졌다면 이 충격은 배로 감소했을것이다. 아니 오히려 책을 덮을때 안도와 평안함이 밀려왔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소설은 읽는 내내 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더니 결국은 참지 못하고 책의 충간쯤부터는 울면서 봤던것 같다.

가로 세로 11피트의 방에서 나고 자라고 그 방과 엄마가 세상의 전부였던 아이. 5살이 지나도록 엄마젖을 먹으며 잘때는 벽장안에서 자야하고 숫자세기를 강박적으로 하는 아이. 도라를 좋아하고 자기가 가진 책 5권중에 "땅 파는 딜런"을 좋아했던 아이...

보는 내내 아이의 관점에서 쓰여져서 그런지 아니면 내 아이가 5살이라 그런지 아이입장에서 생각하게 되고 아이에게 참 많은 감정이입을 한듯하다.

그 아이가 엄마로부터 세상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을때 얼마나 혼란스러웠을지 탈출과 엄마의 구출을 혼자 감당하면서 얼마나 공포스러웠을지 그 아이가 안쓰럽고 또 안쓰러웠다.

내가 생각하기엔 그 방안에서, 그 올드 닉에게서 탈출만 한다면 아이도 엄마도 행복한 삶을 살아나갈줄 알았다. 아이는 꼭 필요한 보살핌을 받으며 엄마는 주위에 도움을 받으며 그렇게 금방 될줄 알았다.

역시나 그것은 내 입장이였고 내 생각일뿐이였다.

아이는 혼란스러웠다. 세상이 더 이상 가로세로 11피트가 아니였으며 자기에게 말을 걸어주는 엄마는 아이에게 더 이상 유일한 사람이 아니였다.

다섯살짜리가 감당하기에는 얼마나 벅차고 어려웠을까...옆에서 잠든 내 아이를 보니 마냥 어린아기같은 다섯살일텐데 말이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는것 이상으로 잭은 용감했다. 결국은 엄마를 그 방에서 육체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구출했으니 말이다.

이 소설이 단지 그냥 소설에 불과했다면 참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도 세상에는 이렇게 무서운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되고 있다는것이 놀라울 따름이였다.

충격적이고 아픈 소설이지만 그 안'에서 찾게 되는 잭이 주는 희망을 발견할수 있는 소설이였다.

근래에 읽은 소설중 가장 흡입력이 뛰어났으며 스토리 전개가 탄탄했던 소설이 아니였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