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필요 없어 - 싱글맘과 여섯 살 아들의 평범한 행복 만들기
김양원 지음 / 거름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요즘들어 싱글맘,싱글대디들이 늘어난 추세인것 같다. 예전엔 싱글맘들도 미혼맘이냐 리틀맘이냐 이혼맘이냐 등등으로 나뉘었는데 요즘은 모든 편부가정을 싱글맘이라 지칭하는듯하다.

그 이유야 어찌되었든 싱글맘 싱글대디들도 하나의 가정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대접을 받아야 하며 인정을 받아야 한다. 적어도 차별만은 있어서는 안될것이다.

"아빠는 필요없어"의 책에서도 저자가 외치지만 이혼은 훈장감이 아니지만 싱글맘은 훈장감이란다. 맞는말이다. 요즘처럼 저출산이니 고령화사회니 하는 마당에 혼자서라도 아이를 기르고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시키는 일은 당연히 칭찬받아 마땅한 일이다. 그런데 우리는 색안경을 끼고 보고 의지와는 상관없이 눈총들로 아이와 그 엄마나 아빠에게 상처를 준다. 그런면에서 참 많은것을 느끼게 해준 책이였다.

난 어려서 편부가정에 자랐다. 요즘말로는 멋지게 싱글대디라는 말도 있지만 우리때는 우리가정을 결손가정이라 불렀다. 물론 엄마의 빈자리가 절실히 느껴졌으며 무엇으로도 메우지 못할 큰자리였지만 그렇다고 내가 결손가정에 자란 결손아동은 아니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세상의 눈총은 따갑기만 했고 무엇이라도 실수라도 할라치면 "그럼 그렇지"라는 의미심장한 눈길들을 받으며 어린시절 상처로 남았었다.

내가 성장해 한가정을 꾸리게 된 지금은 많은게 변해있다. 이혼이 만연했으며 미혼으로서 아이를 낳아 기르는 일이 흉이 아닌 당당하고 용기있는 일이 되었다. 그럼에도 아직도 그 가정들을 쳐다보는 시선은 곱지 않은게 사실이다.

왜 아이가 아빠가 필요없겠는가? 왜 아빠가 그립지 않겠는가? 그러나 상황이 상황인만큼 서로 노력하고 이해하고 서로 보듬으면서 그 빈자리를 메꿔 나가야 하지 않겠는가? 없는 아빠를 억지로 만들어낼수도 없는 노릇이니 말이다.

이 책은 아빠없이 엄마가 홀로 육아를 감당해나가면서 겪은 죄충우돌적인 이야기라기보다는 싱글맘으로써 우리사회에서 겪는 애로사항이 더 절절하게 녹아있다.

직장생활을 하며 연로하신 부모님의 도움없이는 아이를 키울수 없는 현실, 완전한 가정이라는 편견속에서 어릴때부터 아이가 겪게 되는 상처들, 그리고 여자로써 저자의 삶등이 고스란히 묻어있는 책이였다.

책을 다 읽고 덮으면서 다시 본 책 제목은 아빠 따위는 필요없어!가 아니라 없는 아빠라면 굳이 필요하지 않다고 해석되며 저자와 저자의 사랑스러운 아들 정인이의 행복과 우리나라의 수많은 싱글맘 싱글대디와 그 아이들의 행복을 조심스럽게 빌어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비 2010-05-24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