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우리역사
信太一郞 지음, 이종윤 옮김 / 삼국시대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 주위에 역사서는 무수히 많다. 그것이 우리나라 역사서이든 외국의 역사서이든...

그런면에서 보면 역사는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는 학문이지 싶다. 내가 겪어보지 못한 일들에 대한 동경과 선조들이 살아왔던 것들 보면서 얻는 깨달음도 무시못할 즐거움이기도 하고 말이다.

우리나라 역사에 절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외국이 있는데 중국과 일본이다.

가까운 지리적 특성때문에 참 많이 부딪히고 참 많이 배우면서 서로 성장한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게 함께해온 지난 역사들때문에 지금은 서로 불편하고 보이지 않은 경쟁관계가 된 사이라는것도 사실인것 같다.

특히 일본과는 말이다. 오죽하면 일본을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 라고 하겠는가

그만큼 우리나라에 있어서 일본은 애증의 대상이다. 우리보다 먼저 근대화에 들어선 일본 우리보다 더 빨리 경제대국에 합류하며 지금도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부러운 일본 그러나 우리에게 굴욕을 안겨준 미운 나라로 복잡한 감정이 얽혀있다.

그래서 더더욱 궁금해졌다. 과연 지난 2천년동안 일본과 우리는 어떤 관계였을까?

"또 하나의 우리역사"는 일본인이 2천년동안의 한일관계를 많은 고증과 문헌들을 참고하여 쓴 한일관계역사서이다.

내가 알고 있던 한국과 일본의 과거의 관계란 "조선통신사"나 "일제강점기"정도가 전부였다 해도 무방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서 한구과 일본은 훨씬 오래전부터 훨씬 더 가까운 관계였음을 알게 되었다.

어찌보면 뗄래야 뗄수없는 관계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연도순으로 한국이 과거에 삼국시대였을때 그리고 일본이 야마토정권이였을때 서로의 나라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 일이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우리가 상상도 할수 없던 때에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또 하나 이 책을 읽으며 놀라웠던 부분은 저자가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일본에 있어서 한국이 어떤 존재였는지 어떠한 선입관도 가지지 않고 솔직하게 인정하고 이해한 부분이다. 아니 오히려 그런것들에서 한국에 대한 애정마저 느껴졌다.

그 애정이 나중에는 일본인 아버지와 재혼한 한국인 어머니와 그 자식들 때문이였다는것을 알게 되었을때 이해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이 어떻게 경제대국이 되었는지는 비교적 현대와 가까운 시점에 일어난 일들이라 많이들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옛날 섬나라로써 고립된 일본이 어떻게 야만에서 벗어나 문명화가 되었는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것 같다.

이런면에서 이 책 "또 하나의 우리역사"은 상당한 가치가 있는 책임에 틀림이 없다.

다만,처음 읽었을때 한문을 보고 살짝 놀라긴 했다. 그러나 비교적 쉬운 한자들이였고 아마도 한자의 뜻을 알리기 위하여 한자로 표기한 것이 아닌가 싶어 나중엔 읽기가 편했다.

그러나 어려운 한자들은 대충 짐작해서 읽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그리고 저자가 쓴 일본의 역사들이 우리가 모르는 것이 많았기에 역자칼럼이라든지 역자주석이 많이 있었는데 이 책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과거 2천년에 한일이 어떤 관계였는가를 알아보는데 그치지 않고 앞으로 어떤 관계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로 삼아도 손색이 없을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