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
스티븐 레비츠키.대니얼 지블랫 지음, 박세연 옮김 / 어크로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극단적소수가다수를지배하는가
스티븐레비츠키
대니얼지블랫
어크로스
600pclub
.
.
민주주의의 위기를 말한다. 민주주의만이 현대 정치사회의 최선일까. 역사적 과정을 거쳐 민주주의에 도달했지만 과연 지금 우리가 원했던 민주주의라고 말할 수 있을까.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라고 비판했으며 지혜로운 철인 통치자에 의한 정치를 이상으로 꼽았다. 또한 슘페터 역시 엘리트 민주주의를 제시하며 민주주의의 한계에 대해서 말했다. 과거의 사상들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지구촌 곳곳에서 민주주의 정치사회에서 이해할 수 없는 사건들이 이어지고 있다. 겉으로는 민주주의를 표방하지만 대의제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과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된다.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
.
민주주의 절차에 충실하다고 해서 입법과 행정이 민주주의의 자유와 평등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을까. 다수결이라는 민주주의 의사결정 방식과 대의제라는 간접민주주의의 형태가 어떤 허점을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은 전 세계로 시야를 넓혀 민주주의에 안도하는 일반 시민들에게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과연 민주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그 한계를 예리한 시선을 담아 보여준다.
.
.
전세계를 비롯한 정치적 사건들이 등장하지만 미국정치에 대한 제언이기에 그 무게중심은 미국사회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제기는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적 시선에서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독재가 아니라도 말하지만 사실상 다수의 지배는 제도적으로 용인되어왔고 대중은 무의식적으로 이를 인정한다. 아마도 미국을 넘어 많은 사회에서 시사하는 바가 큰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