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의 냄새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9
김지연 지음 / 현대문학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초의냄새
김지연
현대문학
.
.
냄새.
보이지 않지만 알아챌 수 있고
어딘가 몰려와 갑자기 흩어지는 후각의 단서.
감각중에서
시각, 청각, 미각, 촉각에 비해
나의 경우에는 가장 덜 활성화된 감각인 듯하다. 만약 오감중에 하나를 포기해야한다면 후각이 될 것이다. 냄새를 맡는다는 것으로 세상을 알아가는 정도는 상당히 한정되기 때문이다.
.
.
냄새를 소재로 현대 한국사회의 혐오, 계급의 문제를 일상의 대화 속에서 전달하여 여운을 남기는 소설이다. 주인공 k와 p의 여행은 의외의 상황 속에서 전개되고 k는 냄새를 통해서 기억과 사건을 인지한다. 후각는 시각이나 청각처럼 기록을 남기기 어렵고 기억에만 의존해 남게 된다. 그가 떠올리는 태초의 냄새들, 그리고 그가 코로나에 걸린 후 회복전에 감지하는 유령냄새가 서사의 주요축이 되고 있다. 냄새는 정확도가 떨어진다. 기록도 어렵고 사라지면 그것으로 끝이다. 하지만 냄새는 직관적이다. 강한 혐오를 이끌기도 하고 강렬한 욕구를 동반하기도 한다. 채취라는 이름으로 사람에게 따라오는 냄새도 있다. 냄새라고 할 때와 향기라고 할 때는 다른 느낌이 된다. 냄새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이토록 많다는 것에 대해서, 그것을 그동안 생각해본 적이 없다는 것에 대해서 이 소설의 마지막장을 읽고 오래 생각에 잠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