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완벽에 가까운 사람들 - 미친 듯이 웃긴 북유럽 탐방기
마이클 부스 지음, 김경영 옮김 / 글항아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의완벽에가까운사람들
#마이클부스
#글항아리 협찬
.
.
북유럽스타일.
스칸디 느낌. 친구와 이야기를 하다가 나온 말이다. 어딘가의 인테리어에 대해 누군가의 인상착의에 대해 그렇게 말하면 서로 고개를 끄덕한다.
하지만 북유럽에 대해서 모르는 두 사람의 소통에 문제가 없다는 건 우리에게 통용되는 북유럽에 대한 이미지가 정확한 것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과연 북유럽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걸까.
.
.
나는 소위 북유럽의 기적을 조금 더 깊이 파고들기 시작했다. 더 나은 삶의 방식을 제시한 스칸디나비아의 원형이 있을까? 또 북유럽 기적 현상의 다른 이름인 북유럽 예외주의의 전승 가능한 요소들이 잇을까?(21쪽)
.
.
영국인인 마이클 부스는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5개국의 북유럽을 직접 경험하며 특유의 유머와 통찰을 통해 스칸디나비아 5개국을 새롭게 조명한다. 앞서 언급한 북유럽 '느낌'의 환상을 넘어서 각종 국제적인 지표에서도 항상 우위에 있는 '완벽에 가까운' 나라들에 대해 경험에서 오는 직접적인 분석을 하는 것이다. 우리가 믿었던 막연한 상상의 실수를 깨닫게 함과 동시에 객관적 지표에 실질적인 국민들의 성향이 더해져 굉장히 입체적인 분석과 재치있는 탐방기록이 양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세계최고 수준의 사회복지에 대해 시민들은 현실적인 태도를 취한다. 평등이라는 공통된 관념은 있지만 과한 세금으로 국가에 대한 믿음으로 저축 등의 노력에는 힘을 들이지 않는 것이다. 또한 사회서비스에 있어서도 완벽함을 자부하기 보다는 현실적인 입장에서 만족과 불편을 이야기한다.
무거운 이야기를 심도있으면서 유쾌하게 풀어가면서도 북유럽을 떠올리는 보편적이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아낸다. 예를 들어 핀란드 산타에 대해서 말할 때도 동심의 영역에 있는 산타에게 여행중 자연스럽게 말하고 가감없이 전한다. 이어서 자연스럽게 핀란드인의 국민성 등으로 이야기가 능수능란하게 확대된다.
.
.
부제의 '미친듯이 웃긴 북유럽 탐방기'라는 표현에서 독자가 예상하는 범위와 기준은 모두 상대적이라고 생각한다. 부제를 알고 보았을 때 얼마나 웃음이 터지는지 폭소포인트를 찾게 되는데 그보다 이방인 인듯 아닌 필자의 유머에 핵심이 있기 때문이다. 북유럽에 대해 진짜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