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핑의 과학 - 경기장을 뒤흔든 금지된 약물의 비밀
최강 지음 / 동녘사이언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핑의과학
최강

지금까지 도핑이라는 단어를 가장 처음 들었을 때는 아마도 88서울올림픽이다.(앗, 나이..태아시절도 기억한다고 거짓말하고 싶어진다) 100m육상경기에서 칼루이스의 우승을 놓고 많은 관심과 기대를 모았다. 예상과 달리 세계신기록으로 우승한 사람은 벤존슨이었다. 그런데 더욱 충격적인 것은 그가 도핑으로 적발되어 금메달이 박탈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때 나는 도핑이라는 단어를 처음 알았다. 그리고 도핑은 무모한 욕망과 비윤리적인 스포츠맨의 태도에 대한 비난으로 생각했다. 대체 왜 저런 짓을 하는거야? 하지만 그렇게 단순한 얘기는 아니었다. 도핑은 스포츠 규정상에서 금지된 행위로 스포츠를 사랑하는 많은 이들에게 비난을 받는다. 메달박탈, 출전금지 등의 조항뿐만 아니라 금지약물의 복용은 선수 개인의 건강과 정신을 해치기도 한다. 선수로서 모든것을 잃고 선수 생명의 가혹한 끝만이 남아있는 것이다.
.
.
<도핑의과학>은 일단 재미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선수들의 사연과 사건은 시종일관 흥미와 재미를 준다. 안타깝게 도핑에 걸리게 된 경우도 있고, 교묘하게 숨기다가 적발된 일화도 있다. 운동선수의 삶에서 도핑이란 엄청난 서사가 있는 것이다. 일부러 경기성적을 위해 금지약물을 먹는 욕망이. 모르고 복용했다가 기록과 며예를 박탈 당하는 몰락이....마치 소설처럼 재미있었다. 하지만 선수들에게 실제 일어난 일이기에 마음이 무겁다.
.
.
동시에 이 책은 뭔가 사건사고를 다루는 수준을 크게 넘어선다. 도핑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을 정신과전문의인 저자의 해설로 전달되는데 보면서도 좀 똑똑해지는 기분이 든다. 약물의 명칭과 반응들을 꼼꼼히 읽을 수록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핑의 개념이 약에서만 머물렀으나 도핑의 범위는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선수의 건강을 위협하는 약물이나 도구,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물질이나 기술’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인체공학적 수영복이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
.
스포츠의 세계는 냉정하다. 그런만큼 승부과 기록에 대한 욕망이 유혹으로 이끄는 듯하다. 도핑. 간혹 스포츠뉴스에서 만나던 단어 하나로 이렇게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질 줄 몰랐다. 올림픽 하기 전에 보고 아는 척 좀 할걸 그랬다. ㅎㅎㅎ

협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