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시대의 아리아
신종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자시대의아리아
신종원
문학과지성사
.
.
음악과 소리를 문자화한다면 어떤 소설을 만날 수 있을까. 짐작할 수 없지만 이 소설은 가청의 영역을 넘어서는 지점이 있다. 파동까지도 동원되어야 가능할까. 낯설고도 매혹적인 시도의 소설집은 소설읽기의 전혀 다른 매력으로 나를 이끈다. 음악에 대한 소설이라면 작곡가와 소설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능수능란함을 상상할 것이다. 하지만 설정된 경계를 오고가는 것도 아니고 무너뜨리는 것도 아니다. 소설을 읽고 있지만 서사를 따리가며 인물에게 이입되기보다는 문자를 해독하는 느낌으로 따라가며 정보를 조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굉장히 특별한 독서경험이 된다.
.
.
적산가옥에 울려 퍼지는 참혹한 음성을 독특한 구성으로 쓴 <전자 시대의 아리아>는 실험적 시도(나에게는 낯선)와 치밀한 문장으로 특별한 소설이었다. 이 작가의 등단작이라고 하니 앞으로의 작품방향과 작가로서의 문제의식이 선명하게 느껴진다.
.
.
"이제 건물은 안팍으로 적막해보인다. 남아있는 소리는 하나뿐이다. 어둡고 넓은 지하층 로비안에 울려 퍼지는 단음절의 노래."
<전자시대의 아리아>
.
.
짜다, 직조하다의 행위에서 다양한 상상들을 배치한 <멜로디 웹 택스처> 또한 시선을 사로 잡았다. 베란다에서 음악으로 실을 잣는 거대한 거미라는 발상이 놀라웠다. 특히 2인칭으로 너를 호명하기에 읽는 내내 긴장이 유지되었다.
.
.
"음악은 너를 부른다. 오차 없이 계산된 완전음정과 때로 고의성 짙은 불협화음들로. 이 수학적인 속삭임은 온몸에 돋은 생체 레이더를 교란한다. 그것은 위협처럼 다가오는 단발성 소음이나 경계할 필요 없는 잡음들과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신호를 보내오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어떤 기억이다. 아주 오래된 기억. 지금은 잃어버린 기억. 예컨대 아름다움. 이 알쏭달쏭한 말의 실체가 무엇이었더라."<멜로디 웹 텍스처>
.
.
2인칭시점의 호명은 누군가의 시선과 목소리를 상상하게 한다. 거미임을 인지하고 소설에 더욱 몰입하게 되었다. 또한 <전자시대의 아리아>도 마찬가지였다. 너의 이름은 '경성군사통일연구소'였으니까. 다시 읽으면서 의미망들이 직조되는데 이 특별한 호명은 독자를 빠르게 이 소설에 몰입하도록 만든다.
.
.
이 소설은 낯설다. 하지만 여러번 읽음으로써 익숙해지는 것을 거부할 것이다. 낯선상태로 감각, 특히 청각으로 음악 혹은 음향을 텍스트화하는 시도는 잊지 못할 독서경험이다.





#서평 #책소개 #추천책 #책추천

협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