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슐레의 민중
쥘 미슐레 지음, 조한욱 옮김 / 교유서가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중
#미슐레의민중
#쥘미슐레
#조한욱
#교유서가
.
.
역사를 공부하면 비범한 인물에게 시선이 사로잡힌다. 영웅적 면모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존경심으로 그들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누구에 의한 누구의 시대'라고 통칭하기에 문제제기가 필요하다. 바로 민중이라는 개념에서 역사에 접근한다면 영웅적 개인이 아닌 수많은 민중에 의한 역사임을 인정하게 된다. 그 과정은 <미슐레의 민중>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과거의 민중들의 강렬한 힘을 발견함과 동시에 나 역시 오늘의 민중의 대열에 속한다는 생각으로 벅찬 마음이 든다.
.
.
이 책은 저자가 동료역사가에게 쓰는 편지로 서문을 시작한다. "고독한 작가는 군중 속으로 몸을 던져 소음을 듣고 말을 기록했다"는 시도에서 자신의 기록과 연구에 대한 결심을 볼 수 있다. 그는 민중에 대해 연구하면서 "결핍과 무질서와 비참한 악덕 속에서도 풍요로운 감정과 선한 심성을 잃지 않았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타인의 멸시와 가난 속에서 살아온 힘없는 민중들이 가장 진심어린 선을 실천해온 것이다. 그럼에도 이들은 다수가 되어 역사적 조명을 받지 못했을 것이다. 질 미슐레의 연구 동기를 확고히 할만큼 민중들의 선한 마음은 어디에 기반한 것일까. 잠시 이 페이지에 머물러 생각에 잠겼다. 롤즈의 정의론에 따르면 자신도 불행해질 수 있다는 마음에서 무지의 베일을 쓰고 최소수혜자를 위한 분배적 정의에 동의한다. 인간의 이타성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있지만 역사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이타심이 발휘된 일들이 굉장히 많다. 쥘 미슐레 역시 "헌신과 희생의 능력"을 인류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는다고 한다. 그리고 이를 최고의 능력이라고 말한다. 그가 민중을 연구주제로 결심한 강력한 동기들이 서문에서 잘 드러나 있다.
.
.
지금까지 연구주제로 민중이 다뤄지지 않았음을 문제제기하며 민중의 본능을 다각도로 연구한다. 저자의 목소리는 다소 고양되어 있다는 인상을 주는데 내 경우에는 그런 이유로 가독성이 높아졌다고 생각한다. 민중을 중심에 둔 역사서라지만 민중에 대한 저자의 감탄과 애정으로 문학적인 표현들이 굉장히 많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에 대한 연구서라기보다는 감동어린 저자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 했다. 무심코 따라 읽고나면 내 마음 속에서도 어떤 울림이 이어졌다.

도서협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