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우리를 우리라고 부를 때 : N번방 추적기와 우리의 이야기
추적단 불꽃 지음 / 이봄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우리를우리라고부를때
.
.
미투, 나도 그렇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미투운동에서의 미투는 좀더 다른 차원을 포함한다. 나도 그렇기에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 
그렇게 우리는 우리가 된다. 함께 하기에 우리인 것이다. 우리라고 부르고 우리로서 연대한다. 
.
.
N번방에 대해서는 양가감정이 있었다. 알아야하지만 알고 싶지 않은 마음이었다. 너무나 참혹해서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과 분노가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연히 회피의 감정으로만 거리를 둘 수 없는 문제였다. 우리라고 부를 수 있는 연대감과 용기가 지금 나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이었기 때문이다. 나에게 일어난 일이 아니니까,라는 태도가 아닌 우리에게 일어난 일이다,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했다. 연대의 시작은 불꽃추적단 불과 단의 이야기를 읽는 것으로 가능했다. 
.
.
대학생의 신분으로 텔레그램N번방을 추적해온 단과 불. 참혹한 사건이라고 거리두기 싶었던 마음이 이 사건 속으로 용감하게 들어가 진실을 알리는 두 사람 앞에서 부끄러워졌다. 알고 싶지 않다고 일어난 일에 대해 알고자 시도하지 않는다면  
그또한 비겁한 일이다. 치열하게 추적하고 고발해온 두 사람의 용감한 기록을 읽음으로서 '우리'라고 부를 수 있는 시작이 가능한 것이다.
.
.
이 책은 마치 기사처럼 일어난 사건만을 전달하지 않는다.  불과 단의 이야기, 일상에서 취재를 목표하는 과정이 현대사회의 고착화된 성평등 차원의 문제의식 또한 담아내기 때문이다. 우리가 된다는 것의 출발이 공감이라면, 여대생들의 결심은 뜨거운 메시지를 전한다. 그들이 사건의 피해자와 연대하는 방식이 취재라면, 독자에게는 우선 이 책을 읽는 것이 된다.
.
.
이어서 앞으로의 미래에서 우리는 어떻게 존재할 것인지에 대해, 우리라고 부를 수 있는 소중한 시도들에 대해 말한다. 1부가 사건이 수면위로 드러나 보도된 현재라면 2부는 사건을 취재하게 될 여대생들위 문제의식, 즉 과거로 볼 수 있다. 또한 3부는 우리의 미래를 그려봄음으로써 단순히 사건의 취재와 전달을 넘어서 우리의 정체성과 사회의 연대까지도 제안한다. 
.
.
하지만 우리는 살아 있다. 이 땅에서 살아남아, 외치고 있다. 각자의 자리에서 연대하며 움직이는 이들이 있기에 내일을 그릴 수 있는 것이다. 추적단 불꽃은 성범죄 피해자의 고발을 지지한다. 그들의 고통은 우리의 몸을 통과해 심장을 건드렸다. 피해자의 상처가 나의 고통으로 바뀌어 발화하는 순간, 뜨거운 용암이 심장에서 솟구친다.
(294쪽)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