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쓰기는 애쓰기다 - 당신의 삶은 이미 책 한 권이다
유영만 지음 / 나무생각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는 애쓰기다

 

책을 쓰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작가의 인구와 독자의 인구가 역전될 수도 있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책쓰기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간혹 쉽게 쓰여진 책들도 보인다. 출판사의 기획이나 대중의 유행에 따라 만들어진 책들이다. 쉽게 읽히기 위해서라도 책은 쉽게 쓰여져서는 안된다. 생각을 정돈하고 문장을 쓰고 삶과 괴리되지 않은 진실한 메시지를 위해 책을 써야한다. 제목 그대로 책쓰기는 애쓰기다. 삶에서의 분투가 공들인 기록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교수의 책을 보면 문장의 날카로움에 여러번 놀란다. 사유를 관통하는 섬세함과 예리함을 지금까지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조준한다. 그의 글은 그야말로 지적인 팩트폭격인 셈이다. 그가 전하는 당위는 어쩌면 나의 머릿속에서 문장으로 나오기 전의 문제들을 제기하는 것과 같다. 이전의 책들을 볼 때도 같은 생각을 했다. 이번 책은 ‘책쓰기’에 대한 책이지만 한 권의 책을 탄생시키기위해 살기, 읽기, 짓기, 쓰기가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역설한다.

그는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우선, 제대로 살아야한다고 말한다. 사소한 일상이 상상력의 터전이 되고 삶 자체가 거대한 하나의 텍스트가 되는 것이다. 나의 삶을 충족시켜 그대로 앎을 투영할 수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다음으로는 읽어야 한다. 독서의 가치와 즐거움을 알고 읽기를 통해 남다른 지식을 창조한다. 읽으면서 쓰고 쓰면서 읽는 저자의 실행력은 누구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책쓰기의 시작이 된다.

이어서 짓기가 필요하다. ‘글은 삶이 남긴 얼룩과 무늬다’라고 주장하며 글을 어떻게 지을 것인지에 대해 말한다. 어쩌면 많은 독자들이 가장 구체적으로 글짓기의 방법론에 대해 귀기울이만한 부분이다. 그러나 앞서 제시된 살기와 읽기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다면 짓기 또한 제대로 시도될 수 없을 것이다. 그는 이 장에서 통념을 뒤집어야 통찰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의 책들에서 꾸준히 지속되는 메시지가 아닐까 싶다. 통념을 뒤집는 것, 그래야 삶이 반영되는 짓기가 가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책쓰기의 과정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앞서 살기, 읽기, 짓기가 결국 한권의 책으로 압축되는 것이다. 한권의 책을 출판사를 통해 실질적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책을 쓰는 사람의 자세를 점검하는 훌륭한 지침서가 된다는 점이 인상적인 책이었다.

나 역시 문장노트를 쓰며 문장을 모으고 글을 쓰거나 인용을 할 때 참조한다. 한권에 1000개의 문장을 적을 수 있다. 두권을 완성했는데 그 중 하나는 채우는데 반년이 걸렸고 또 하나는 8년이 걸렸다. 이제야 다시 읽고 쓰는데 익숙한 삶으로 진입하여 다시금 문장을 적고 있다. 문장노트를 보면 자신의 작은 역사가 보인다. 어떤 책을 읽었는지는 어떤 고민을 갖고 있었는지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저자가 문장노트를 활용하는 대목을 읽으며 깊이 공감했고 앞으로 계속해서 꾸준하게 써나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덱스를 수없이 붙였다. 좋은 문장들과 마음에 새기고 싶은 문장들 마다 붙였지만 저자 역시 좋은 문장을 수집해온 내공에 대해서 공감하게 되었다. 책쓰기의 비결을 전하며 책과 일치하는 삶을 살고있는 저자의 진정성에 감동을 받았다. 또한 반드시 책을 쓰지 않더라도 자신의 삶을 한 권의 책으로 여기며 완성해가는 자세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