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하, 나의 엄마들 (양장)
이금이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로하, 나의 엄마들

소설을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며칠간 이 소설에 푹 빠져 있다가
간신히 빠져나와 생각했다.
.
.
누구의 작품인지도 모르고 창비서평단 기회로 읽기 시작했다. 누군가의 작품이라는 정보가 책을 읽기 전 기대를 갖게 하지만 전작과의 평가 혹은 작가에 대한 애정으로 작품 그 자체에 대한 순수한 접근이 어려울 때도 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작가에 대한 짐작을 하지 않는다. 이 소설이 나의 나에게 각인하는 것은 소설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버들, 홍주, 송화다.
.
.
첫장을 넘길 때는 대체 작가가 누구지? 라는 궁금증이 들었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이 소설의 인물이다. 버들을 중심으로 홍주, 송화로 이어지는 여성들의 연대는 깊은 감동을 남긴다. 1900년대 일제 강점기인 조선에서 '사진신부'가 되어 하와이로 건너온 여성들의 삶은 지금까지 서사로서 조명받지 못했을 것이다. 한인들의 이주는 역사의 기록으로 알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여성의 자립과 연대에 대해서 생각해보지 못했다. 이 책을 읽기 전과 달리 이 책을 읽음으로써 여성으로서의 삶을 개척해나가는 자립심과 성장의 서사가 얼마나 간절했는지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살아가는 시공간의 특수성과 무관하게 앞으로의 인생을 위한 방향을강렬한 인상과 함께 가늠할 수 있었다. 이 소설의 인물을 통해 여자로서의 삶과 어머니로서의 삶에 대해 깊은 감동을 받았다.
.
.
"남편 떠난 여자, 남편 죽은 여자, 남편한테 버림받은 여자 셋이 모여서 뭐가 좋다는거야?"
.
.
버들. 홍주. 송화. 이들은 위대한 인물들이 아니다. 어쩌면 시골 '가시나'들이다. 하지만 시대의 거센 파도 앞에서도 자신의 삶과 신념을 위해 강인한 의지로 살아간다. '엄마'라고 불릴 수 있는 세사람은 파도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의지하며 견뎌나간다. '우짜노'를 연발해도 '우짤 수 없다'며 해내고 마는 것이다. 이 책은 놀라운 몰입도를 보여주는데 아마도 이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게 하는 것은 이들의 우정이 아닐까 싶다. 언제나 사려깊고 누구든 배려하는 버들과 유쾌한 걸크러쉬를 보여주는 홍주의 우정은 가족의 경계를 넘어서는 강렬한 유대를 보여준다. 특히 홍주의 매력은 백년전 여성에 대한 편견을 과감히 깨버렸다. 홍주 때문이라도 이 책은 읽어야 한다.
.
.
이 책을 통해 힘들고 불운하면 불쌍하고 안타깝다는 타자화된 사고 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들의 삶을 섬세히 들여다보고 공감하는 것이 인생을 얼마나 풍요롭게 할 수 있는지를 깨달았다.
.
.
"함께 조선을 떠나온 자신들은 아프게 기쁘게 뜨겁게 파도를 넘어서며 살아갈 것이다. 파도가 일으키는 물보라마다 무지개가 섰다."
.
.
최근들어 소설을 읽고 이토록 펑펑 울어본 적이 없는 듯 하다. 기구한 사연이 슬퍼서가 아니라 나도 그들의 친구인 듯 행복해서 울었다. 아직도 책 표지만 봐도, 제목만 떠올려도 눈물이 고인다. 아름다운 결말을 스포할 수 없어서 여기까지 쓴다.
.
.
이 글의 첫질문으로 돌아가본다.
소설을 읽는 이유에 대해서.
재미있게 때문에 읽는다.
누가 썼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일단 소설은 매력적인 서사여야 한다.
이 작품은 인물과 서사에 있어서 탁월하다.
그리고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과 여성의 연대를 통한 성장이라는 주제가 시사하는 바가 큰 작품이다. 올해 최고의 소설을 뽑기에는 너무 이른 3월이지만 주저없이 선택할 수 있다.
.
.
"어디서나 흔히 들을 수 있는 '알로하'라는 말은 단순한 인사말이 아니었다. 배려, 조화, 기쁨, 겸손,인내 등을 뜻하는 하와이어의 첫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었다. 그 인사말 속 서로 사랑하고 배려하고 존중하며 기쁨을 함께 나누자는 하와이 원주민의 정신이 담겨 있다고 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