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 장혜령 소설
장혜령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를 받아 쓰는 존재의 진정성

          장혜령의 진주



부재하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에서 기록이 시작되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존재하는 아버지 앞에서도 기록은 멈추지 않았다. 아버지를 처음 만났던 곳, 진주 정확히는 진주 교도소를 떠올리며 성인이 되어 작가는 다시 진주로 떠난다. 여행의 실패를 예감하면서도 작가는 그곳으로 향할 수 밖에 없었다. 장혜령의 소설 진주는 해야한다는 당위가 아니라 어찌할 수 없음의 불가피의 기록이다. 민주화 운동에 투신한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는 작가의 존재를 설명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선택이었다. 글을 쓴다는 것으로 주체는 대상을 분석하지 않는다. 애초에 주체와 대상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었다. 작가는 자신의 존재 근원인 아버지에 대해 쓰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버지는 운동가로서의 삶이 우선했기 때문에 딸은 시대에 대해 사유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작업이 자신이 낼 수 있는 다수의 목소리를 불러내게 한다. 결국 이 소설은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가장 강렬한 진정성을 획득한다


이 소설이 민주화 운동을 했던 아버지에 대한 딸의 서사라는 점에서 후일담문학이라고 불릴 수 있다. 하지만 후일담이라는 말은 서사의 당사자들에게는 잔인한 표현이다. 듣거나 보는 이들은 사건의 기승전결에 대해 무의식적 요청을 한다. 그러나 그 사건과 함께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삶에 극적 구획을 나눌 수 없는 일이다. 이 소설의 아버지와 딸은 결말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 지금까지 결말을 강요했던 무책임한 독자는 이 작품의 윤리적인 자세에 마음이 숙연해진다. 아버지의 삶을 응시하며 그 자리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탐색하는 시도는 치열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처절하다. 어쩌면 작가는 운명적으로 쉽지 않은 작업에 매달렸는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이 작품은 장르의 구속을 벗어나 용감하고 아름다운 기록을 남긴다. 자신의 이야기지만 에세이를 초과하며 소설이지만 허구의 설정에 숨지 않는다. 일기를 비롯한 자료들은 작가가 살아온 삶에 대한 증거이며 작가의 시에서는 그리운 기억과 아픔이 여운으로 남는다. 어쩌면 작가는 이 소설 이전부터 이 사건의 외부에 대해 기록하고 있었다. 초등학생 소녀일 때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어떤 방식으로든 쓰기를 통해 존재할 것이다.


그의 아버지는 조서를 받아적어야 했다. 그것은 자의가 아니었다. 그는 딸로서 아버지의 삶에 대해 적는다.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자의에 의해 시작했겠지만 어쩌면 그의 글쓰기도 순수하게 자신의 의도만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는 글쓰기에 쉽게 마침표를 찍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아버지, 그리고 자신의 존재에 대한 기록은 단순히 이야기를 구성하는 작업이 아니다. 현실을 고발한다거나, 부녀 간의 감동을 전하는 목적에 의한 것도 아니다. 작가는 자신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아버지를 소환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그의 아버지는 민주화 운동에 투신함으로 시대의 야만과 부정에 대해 말할 수밖에 없었다.


이 작품이 소설인 이유는 기록의 모든 경로와 결과를 하나로 함축하기 위함이다. , 에세이, 논픽션 등의 구획에 이 작품을 밀어 넣을 수 없기 때문이다. 작가는 스스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 자신의 이야기에서 출발하여 운동가 아버지를 그리고 시대를 섬세하게 혹은 서글프게 바라봤고 그대로를 기록했다. 이제 독자의 차례다. 과연 우리는 이 작품에 대해서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쉽게 대답할 수 없다. 하지만 대답하려는 시도를 계속함으로써 그 태도로 대답을 대신하고 싶다. 작가가 보여준 진정성의 정도와 무게에 대한 최소한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