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지

직지라는 제목은 직지심체요절을 연상하기 때문에 역사소설이기도 하지만 미스테리 기법으로 강렬한 흡입력을 선사한다. 또한 이야기는 시공간의 벽을 허물고상상 이상으로 확장해나간다. 현재에서 과거로 동양에서 서양으로 그리고 구텐베르크 금속활자가 직지와 연관되어 종횡무진하는 것이다.

니 소설은 주인공인 기자 기연이 기이한 살인사건-상징살인을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서울대 라틴어 전공의 노교수가 살해되고 범인을 추적하는 동시에 이야기의 범위가 확장된다. 이야기의 무대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이끈다.

직지에서 구텐베르크 그리고 조선시대의 한글과 로마 교황청까지 종잡을 수 없는 속도감으로 독자의 시선을 이끈다. 시대적 공간적 배경이 예상치 못하게 확장되는 중에도 이야기의 밀도와 긴장이 놀라울 정도로 팽팽하다. 이전작으로도 증명이 되었지만 또 다른 소재에서 이야기를 엮어나가는 힘이 대단하다고 여겨지고 또한 그간의 작품들에서 한국의 역사와 재조명으로 독자의 마음에 구심점을 심어줬다고 볼 수 있다.

템푸스 푸지트, 아모르 마네트"
은수는 라틴어를 깨우치면서 이 글귀가 '세월은 흘러도 사랑은 남는다'는 뜻인 걸 알게 되었다. (p157)

직지의 부제목인 아모르 마네트에 대해 궁금했다. 사랑은 남는다. 활자를 통해 전해지는 지식의 전수 그 이상으로 사람에 대한 사랑을 상징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김진명작가님의 이전작과 분명 다른 소재지만 읽고나서 마음을 강렬하게 사로 잡는 정체성은 읽는 즐거움 이상이다. 다만 이 종횡무진의 이야기가 철저한 자료조사와 철저하게 직조된 소설의 힘을 분명 확인하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무리하거나 지나친 설정으로 이해할 소지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스펙타클을 만나는 소설적 즐거움이 확실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