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가능하다 루시 바턴 시리즈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이든 가능하다
책을 읽으면서 무엇이든 가능하다라는 제목을 주문처럼 중얼거렸다. 처음에는 무한한 긍정이라고 믿었지만 불행을 예언하는 말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말의 주어는 삶일 것이다. 삶은 무엇이든 가능하다.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불행, 감내해야하는 수치심과 좌절감, 그리고 놀라운 회복의 시간까지 모든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내 이름은 루시바턴>의 등장인물들의 이후를 다루고 있다. 후일담이라기보다는 무대의 조명을 비춰주며 새로운 이야기들이 전개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9개의 이야기는 각각의 단편소설이면서 하나의 장편소설 된다. 어떤 이야기의 진실이 다른 이야기에서 의외의 인물에 의해 설명되기도 한다. <올리브 키터리지>처럼
생생한 인물들은 소설의 경계를 오고가며 살아간다. 단편소설이 삶의 단면을 예리하게 절단하여 보여준다면 이 작품은 단면 이상의 입체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작품은 마치 돌림노래를 부르듯 인물이 조연에서 주연으로 등장하며 만나고 헤어지기를 반복한다. 루시를 중심으로 주변의 인물들은 각각의 이야기에서 주인공이 된다. 9개의 이야기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계시"와 "풍차"였다.
토미는 화재로 농장을 잃은 비극에서도 담담히 살아간다. 돌이킬 수 없는 사고였지만 토미는 화재가 신의 계시였다고 생각해왔다. 자신이 불타는 집과 농장을 바라보며 하느님의 계시를 떠올리는 그를 상상하며 현현에 대해 떠올랐다. 그리고 피트와의 대화에서 무너지는 그의 모습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풍차"는 수치심과 회복에 대한 이야기다. 고등학교 진로상담교사인 패티는 상담중에 무례한 학생에게 심한 말로 상처를 준다. 그후 패티는 우연히 루시 바턴의 책을 보게 되고 고통과 좌절에 대해 공감한다. 패티에게도 공유할 수 없는 고통의 기억이 있었음을 떠올고 회복의 용기를 내본다.
어떤 영화 대사에서 "넌 나에게 모욕감을 줬어."라고 말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수치심은 누구에게 쉽게 경고할수 있는 것 아니다. 나의 내면 깊은 곳에서 외면하고 있던 트라우마는 스스로 극복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무엇이든 가능하다. 불행이 가능했으니 회복 또한 가능하다. 나는 그 가능성을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