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 강박 - 행복 과잉 시대에서 잃어버린 진짜 삶을 찾는 법
올리버 버크먼 지음, 정지인 옮김 / 북플레저 / 2025년 7월
평점 :


행복이란 무엇일까 많이 생각해봤다. 하긴 누구나 그럴 것이다.
행복한 삶을 꿈꾸는데, 그렇다면 정작 행복이란 무엇일까?
여러 고전도 읽어보고 철학, 인문학도 읽어보고, 주변을 돌아다녀보아도 사실 아직까지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는 것이 '행복'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이다.
타고난 성향인지 성격인지 모르겠으나, 나는 그리 밝은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물론 긍정적인 면도 있다.
밝고 에너지있게 생활하려고 노력하니까.
근데 혼자 생각에 생각에 생각에 꼬리를 물고 나면 부정적인 생각과 긍정적인 생각의 비중을 볼 때, 그리 긍정적인 부분이 차지하는 것 많지 않을 듯했다. 하지만 재밌는건 이렇게 부정적인 생각(그냥 고민을 부정적인 생각이라 해도 될 지 모르겠다)을 하고 나면 왠지 모를 후련함과 함께 저 멀리 어딘가에서 밝은 에너지가 생긴다는 것이다.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생각의 끝에는 결국 살아가야 할 힘 같은 것을 느꼈다.
어쩌면 이 책 <행복 강박>도 제목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마냥 밝은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진짜 행복이란 무엇인지 깊이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삶의 긍정적/부정적 단면들을 계속해서 파헤쳐보는 진정한 삶을 찾는 방법일지 모른다.
내가 느꼈던, 고민 끝에 들었던 그 알 수 없는 힘이 바로 <행복 강박>에서 느껴졌다.
<행복 강박>에서는 종종 뼈 때리는 말도 나온다.
수 많은 곳에서 들려오는 행복, 행복, 행복하라는 명령에 오히려 행복 강박에 시달리며 불행해지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만든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정말 삶이 달라질까? 어쩌면 비관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역설적이게도 더 행복한 건 아닐까?
자기계발서들, 무한긍정을 외치는 세상의 메시지 속에서 한번쯤은 진짜 삶의 의미를 고민해본 사람이라면 <행복 강박>을 읽으며 느낄 수 있는 것이 많을 것이다.
집착하지 않는 것, 강박을 내려 놓는다는 것은 현실을 직시한다는 것이고, 정확히 본질을 보고 삶의 곤경은 처할 수 있음을 미리 알고 대비하는 사람이 오히려 닥쳤을 때 회복하고 더 강해진다는 사실을 말이다.
<행복 강박> 같은 책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불안하고 불안정하고 때론 힘든 삶 속에서 <행복 강박>이 오히려 역설적이게도 편안함과 행복함을 준다.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라는 책에서 말하는 '비관적 낙관주의'도 결국 이런 삶의 의미를 말하는 건 아닐까.
<행복 강박>에서는 "행복에 이르는 부정적 경로는 다른 종류의 경로일 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목적지다." 라는 재밌는 메시지를 던진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본 사람이라면 기쁨이(joy)와 슬픔이(Sadness)의 울고 웃기는 시너지를 공감했을 것이다.
<행복 강박>에서 "우리가 목표로 삼는 행복이 긍정적 감정뿐 아니라 부정적 감정까지 포용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일맥상통한다.
행복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고민하고 또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행복 강박>이 좋은 지침이 되어줄 것 같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