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모범생 특서 청소년문학 23
손현주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요에 의한 교육은 아이들을 정신적 억압의 상태로 몰고 가 ‘분노 조절 장애’라는 내적 괴물을 만들어냅니다. ('가짜 모범생' 중)

괴물이 된 자신의 모습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한 쌍둥이 형과 괴물이 되지 않으려 필사적으로 발버둥 치는 쌍둥이 동생이 나온다. 대학이 학벌이 한 학생을 끝냈지만 그런데도 주인공은 현실 속에서 자신만의 답을 찾아가려고 한다. 학벌 지상주의에 찌든 사회를 돌아볼 수 있는 소설이었다.



엄마의 교육 방식은 피멍이 들도록 맞으면 실력이 늘 수밖에 없다는 정설을 믿는 것이었다. ('가짜 모범생' 중)

나도 되게 많이 맞았다. 웃긴 게 맞기 싫어서 숙제를 해 갔고 결론적으론 성적이 좋았다. 그런데도 체벌은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누군가 왜냐고 물으면 거기에 대답을 못 하겠다. 그 답을 이 책을 통해 찾고 싶다.


사막에는 거짓이 없고 폭력이 없고 억압이 없다. 무엇이 옳은 건지 여기서는 판단할 필요가 없다. ('가짜 모범생' 중)

이거구나 애들이 원하는 게. 옳고 그름의 판단이 없는 곳. 내가 원하는 게 정답인 곳을 원하는 거였구나. '내가 원하는 게 정답인 곳' 되게 멋있다.


아저씨만의 개를 위하는 방법이었다. 아저씨는 과일을 바구니에 담느라 내 말은 들으려 하지 않았다. 개들을 저 짧은 목줄에 묶어 종일 보내도록 하는 것은 단지 숨만 쉬라는 것 같았다. 개들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답답해 견딜 수 없었다. ('가짜 모범생' 중)

생명체인데... 살아있는데 때 되면 밥 주고 산책시켜준다고 아무렇지 않을 리가 없다. 개한테서 자신의 모습을 느꼈을 주인공의 심정이 느껴져 마음 아팠다. 때 되면 밥 주고 공부도 시켜주는데 뭐가 그렇게 불만이냐는 환청도 들리는 듯했다.


겨울에 먹이를 저장한 곰은 그해를 잘 보낼 수는 있지만, 새로운 먹이를 사냥하지 않는 한 버티기 어려울 거란 사실을 알고 있었다. ('가짜 모범생' 중)

고2 때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2학년 1학기 기말까지는 어떻게 버텼는데 2학기는 속절없이 무너졌다. 내가 자초한 건 맞는데 그래도 슬펐다.



감상

소설 곳곳에서 내 모습, 주변 사람들의 모습이 보였다. 우울증은 (진단만 받지 않았을 뿐) 흔했을 것 같고 공황장애, 분노조절장애, 불면증도 보았다. 나도 저 중 상당수를 가지고 있고. 불행 중 다행인 건 직업이 다양해지며 학벌 지상주의가 사회 전반에서 옅어지는 분위기이긴 한데, 그래도 여전히 sky를 향한 성적우수자들의 열의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 거란 생각이 들어 씁쓸하긴 하다. 대학이 출세의 발판, 명예가 아닌 수학을 하는 기능이 우리나라에 올까, 란 생각을 다시금 해볼 수 있는 소설이었다.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