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가 끝나가는 정권의 공무원 사회에서 흔히 발견되는 현상은 무사안일과 복지부동(伏地不動)이다. 새로운 일을 벌이지 않고, 책임질 일은 하지 않은 채 그저 임기가 끝나기를 기다리며 눈치만 보는 것이다. 특히 임기 중에 벌인 정책의 성과가 시원치 않고, 정권의 인기가 낮을수록 이런 현상은 심해진다.
문제는 임기가 끝나려면 여전히 상당한 시간이 남아 있고, 레임덕 현상은 아직 본격화하지 않았을 때다. 아직 현직에 있는 대통령의 힘을 무시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앞장서서 총대를 메자니 다음 정권에 찍힐 것 같아 부담스럽다. 이렇게 입장이 모호할 때는 무언가 일을 한다는 인상을 주면서도 나중에 꼬투리가 잡힐 만한 빌미를 주지 않는 것이 난세에 공직자가 살아가는 처신의 요체다.
그 방법의 하나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에드워드 존스와 스티븐 버글러스가 처음 이론화한 자기 열등화 전략(self-handicapping strategy)이다. 이 전략을 택하는 사람은 자신의 업무수행 능력을 의도적으로 낮춰 잡고, 대신 외부에서 다양한 실패 원인을 찾는다. 만일 일이 잘못되면 전적으로 남의 탓이고, 잘되면 자신의 역량 이상으로 일을 잘한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으니 보신에는 그만이다. 골프나 당구 경기에서 자신의 평소 실력보다 못한 기본 점수를 제시한 뒤 경기에서 이기면 실력 이상으로 잘 친 것이고, 지면 원래 실력이 그랬다고 자위하는 식이다. 실패하더라도 심리적으로 상처받을 일도 없고, 그에 따른 책임을 질 부담도 없다.
문제는 이런 전략을 자주 쓰다 보면 역설적이게도 개인의 능력을 실제로 떨어뜨린다는 점이다. 실패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실력을 숨겼는데, 나중에는 정작 실력을 발휘하려 해도 예전 실력이 나오지 않는다. 무능을 가장했다가 정말 무능해지는 것이다.
최근 각 부처의 장관들이 자신의 평소 소신을 꺾고 대통령과 청와대에 장단을 맞추는 일이 자주 벌어지고 있다. 대통령 말투 따라하기, 청와대 국정 브리핑 복창하기, 정색하고 안면 바꾸기 등이 대표적으로 동원되는 기법이다. 자기 분야에 정통한 전문가인 장관들이 자신의 진짜 실력(?)을 감추고 비전문가인 대통령의 하명을 좇기에 바쁜 것을 보면, 이들이 자기 열등화 전략을 쓰고 있다는 의구심이 든다. 정책이 성공하면 자신의 업적으로 삼을 수 있고, 잘못되더라도 대통령 말에 따른 것뿐이니 걱정이 없다. 그러다 정말 무능해지면 어쩔지 걱정이지만.
김종수 논설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