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사 - 칼라하리 사막의 !쿵족 여성 이야기
마저리 쇼스탁 지음, 유나영 옮김 / 삼인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세대라면 누구나 부시맨을 기억한다.

아프리카 사막의 부시맨은 어느 날 하늘에서 떨어진 콜라병을 발견한다.

그 우연한 발견은 조용하기만한 부시맨의 마을에 일대 파란을 몰고오는데...........

 

그런데, 그 부시맨이라는 호칭이 실은 경멸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유럽인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그들은 부시맨이고 호텐토트이지 그들의 이름은 !쿵San산족이다. 칼라하리 사막 근처에 살면서 인류의 가장 오랜 생존방식인 채집으로 일상을 꾸려가는 민족이다.

다른 아프리칸들보다 훨씬 밝은 피부를 지녔고 채집과 사냥으로 다져진 그들의 몸은 날씬하고 건강하다.

그들은 오두막을 짓고 모여살며 아이들과 부모가 오랜 시간을 같은 잠자리에서 생활한다. 또, 슬링이라는 도구로 아이를 업고 다니며 동생이 태어날 때까지 젖을 물린다. 자기 자랑을 하거나 교만한 것을 부끄러워하고, 모든 음식을 당연히 나눈다. 아이들을 지극히 사랑하고 제 자식이거나 남의 자식이거나 가리지 않고 돌본다. 어떤 인류 문화권에서보다 여성의 입지가 강하다. 남자와 여자가 특별히 차별을 받지 않는다는 표현이 적당하다. 어린 소녀의 나이에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흔히들 남편이 아내를 키운다는 표현을 한다.

 

인류학을 전공한 남편을 따라서 칼라하리에서 연구를 시작한 저자는 실은 영문학도라고 한다. 

그녀는 인류의 근원적인 고향인 아프리카에서 인류의 조상들처럼 생할하는 !쿵족을 만났고 아름답고 활달한 여인 니사를 만나서 이처럼 재미난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주었다. 아마도 저자는 인류학을 공부할 운명이었나보다. 니사를 우리에게 데려다 주는 것이 그녀의 소명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쿵족의 여성인 니사- 본명은 아니라고 한다-의 첫인상은 저자에게 그다지 호감은 아니었다. 이기적이고 제멋대로인 니사는 그 유려한 말솜씨를 알아본 저자와 긴 시간동안 인터뷰를 한다. 처음에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관계였지만, 차츰 그들의 관계는 마치 아줌마와 조카처럼 친근하게 발전을 한다. 니사는 저자를 "마저리, 나의 조카!"라고 부른다.

책의 내용은 !쿵족 여성 니사의 삶을 따라가면서 그들의 한 생을 우리에게 전달한다.

니사는 어린 시절 자신의 엄마가 젖을 떼던 무렵부터 기억을 한다고 주장한다. 엄마는 젖을 떼려고 쓴 약을 발랐으나 니사는 자꾸만 젖을 보챘다고 한다. 어쩌면 우리네와 그리 비슷한지. 어린 시절, 엄마와 아빠, 오빠의 사랑을 받으며 자란 니사는 어린 나이에 결혼을 하지만, 신랑을 거부한다. 그리고도 몇 차례 부모는 니사를 결혼 시키려하지만 번번히 실패하고서야 제대로된 결혼을 한다. 남편은 타셰이라는 이름의 남자다. 여러명의 아들과 딸을 낳았지만 소년과 소녀로 자란 것은 둘 뿐이었다. 그러나 그 둘도 사고와 병으로 잃고, 남편 또한 아이들이 어릴 당시에 죽었다. 그 뒤로 베사와 재혼하였으나 베사가 그녀를 버리고 떠난 뒤에 이혼한다. 그리고 다시 만난 남편이 지금까지 같이 사는 보라고 한다. 그 긴 시간동안 니사는 어머니와 아버지를 여의고 남편이 죽고 아이들을 잃는다. 그러면서도 많은 남자들과 사랑을 하고 살아간다. 그녀는 늘 가족들을 거두어 먹였고 모닥불을 지켰다.

 

니사의 삶은 변화기의 !쿵족여성의 삶으로 많은 격랑과 고통으로 이어져 있다. 그러나, 니사는 그것을 특별히 불행하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니사는 "살고 또 살았다."라는 표현을 한다. 살아간다는 것의 갈피갈피에 얼마나 큰 결심과 고통과 선택이 있는지를 이해한다면 니사의 "살고 또 살았다."는 표현이 얼마나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는지 짐작이 갈 것이다.

아프리카의 작은 부족 !쿵족여인 니사의 삶이 전 세계의 다른 모든 여성의 삶과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부모의 사랑 아래서 성장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다가 늙어지는 여성의 삶의 큰 틀이 어디라고 다르겠는가 말이다.

니사는 그 삶의 과정 속에서 충분히 표현하고 느끼고 즐긴다. 인류의 조상과 가장 닮은 그들의 삶에 대한 태도는 경건하고, 낙천적이다. 병이 나서 치료의 기도를 받아도 낳지 않는다면 그것은 신의 나라로 갈 때라고 생각한다.

모든 일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사는 것이 어쩌면 신의 뜻이 아닐 것이다. 그들처럼 경건하면서도 즐겁게 즐기며 살아야하는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