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다, 당신이군요. 최초의 프로그래머 - 컴퓨터 탄생을 둘러싼 기이하고 놀라운 이야기
시드니 파두아 지음, 홍승효 옮김 / 곰출판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컴퓨터에서 프로그래밍(programming)에 해당하는 일련의 명령을 해독하면서 자동적으로 계산을 실행하는 기계를 19세기 초에 영국의 수학자 C.배비지가 계획하였다. 그 시작기(試作機) 중에서 차분기관(difference engine)과 해석기관(analytical engine)이라는 것이 현재에도 남아 있다.”

 

  “영국 수학자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 1792~1871)는 다항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 등을 계산할 수 있는 기계식 계산기인 차분기관을 1822년에 제작하였고, 1835년에는 해석기관을 설계하였다. 이 해석기관은 최초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컴퓨터로 인정받고 있다.”

 

 

  위 두 문단은 컴퓨터의 유래에 관한 내용 일부를 서로 다른 지식백과에서 발췌한 것이다. 내용을 찾을 때 검색어를 ‘컴퓨터’로 했으니, 오늘날 우리가 잘 아는 기계의 형태를 누가 먼저 구안했느냐의 문제로 따져 본다면 상기한 서술들의 정합성은 더 따지지 않아도 될 듯하다. 그러나 정말 그런가? 컴퓨터를 컴퓨터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왜 우리는 고장이 나서 작동하지 않는 컴퓨터나 (어찌 보면 작은 컴퓨터라고도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보며 온갖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가?

  백과사전의 서술은 컴퓨터를 컴퓨터답게 하는 것, 수의 언어를 “숫자 외에 다른 것에도 작용”(28)하도록 하는 규칙, 컴퓨터의 영혼이라고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의 성취마저 배비지의 공으로 돌렸다는 점에서 편향적이다. 역사적 기록은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찰스 배비지와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해석기관의 설계에 ‘공동으로’ 관여했고, 에이다는 그 중 해석기관의 논리를, 오늘날의 언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역할을 맡았다고.

  그러나 그 기록은 얼마간은 가려진 기록이었다. 나 역시 수학 교과서에서, 어린 시절 보았던 과학 교양만화에서 차분기관의 대략적인 형태를 삽화로 접했을 뿐이다. 프로그래밍이 컴퓨터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그 중요한 ‘물건’은 누가 설계했는지에 관한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책 제목에서부터 ‘에이다, 당신이군요. 최초의 프로그래머!’라고 우리의 주인공을 호명하니, 추측건대 그래픽노블의 형태로 다시 쓴 에이다 러브레이스의 전기(傳記)일 것이었다. 그러나 책을 받아보고는, 그 추측이 반만 맞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니까 전기는 전기이되, ‘다중우주’를 설정하고 그 안에서 컴퓨터 창조의 주역들로 하여금 종횡무진 활약하게 하는, ‘워너비 전기’인 셈이다. (참고로 원제목은 『The Thrilling Adventure of Lovelace and Babbage』, 우리말로 ‘러브레이스와 배비지의 짜릿한 모험’ 정도로 직역할 수 있겠는데, 책 내용에는 조금 더 부합하지만 아무래도 비영어권 독자인 우리에게는 밋밋하고 낯선 제목이었으리란 생각도 든다. ‘러브레이스는 누구며 배비지는 또 누군데?’)

  대체역사물이 한국의 출판시장에서 그리 드문 것은 아니지만, 대개 이러한 형태의 ‘워너비 서사’는 대중의 헛헛한 역사의식, 역사에서 미처 이루지 못한 민족의식을 왜곡된 방식으로 충족시키기 마련인지라 책의 기본 설정을 확인한 후 우려가 되는 바도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책을 빼곡히 매운 각주, 그리고 거기에 더해 각주를 보충하는 미주, 그리고 각 장마다 다채로운 방식으로 빛나는 러브레이스와 배비지의 모험담을 마주하며, 나는 나 자신의 얼굴을 새삼 다시 마주했다. 어떤 대상을 깊이 사랑하면 그 대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지 않을까? 뭐 눈에는 뭐만 보인다고, 이 질문은 나에게나 유효한 것이었다.

  저자인 시드니 파두아는 수학 전공자가 아니다. 본업은 애니매이터 겸 특수영상 아티스트라고 한다. 사소한 계기로 그리게 된 러브레이스에 관한 웹툰을 보충하고자 시작한 자료조사는 저자를 러브레이스와 배비지라는, 빅토리아 시대의 기이한 수학자들에 대한 무한한 매혹으로 이끌었다. 책은 말하자면 저자가 경험한 매혹의 과정이자 결과다. 요즘에는 시각 관련 업계에서 컴퓨터가 필수불가결한 도구이기에, 저자의 매혹은 어쩌면 운명적인 것이었을까? 그러나 모든 애니메이터가 수학의 역사와 사랑에 빠지지는 않는다. 저자는 엄밀히 말하면 수학 이론의 장(場) 바깥에 있는 사람이기에, 오히려 더 객관적으로 자료에 접근할 수 있었다. 구글링이라는 이 시대의 보편적 방법론에 러브레이스와 배비지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더함으로써. 그렇기에 저자는 “러브레이스가 무지한 사기꾼이라는 주장과 배비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엄청난 천재라는 주장은 둘 다 … 과장되어 있다! // 당신은 한쪽이 그녀를 축소했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 다른 한쪽은 그녀를 확대했다.”(258-259)라는, 객관에 가까운 주관적 평가를 내릴 수 있었던 것이다.

  군데군데서 실없이 웃게 만드는 영국식 유머라든지, 저자가 직접 온라인 ‘노가다’를 통해 발굴한 러브레이스와 배비지에 관한 ‘원전’이라든지, 수많은 논문과 연구자료를 참고하여 저자가 ‘직접’ 그린 해석기관 전체의 도해라든지……. 이 책의 빛나는 부분은 많다. 그러나 이 빛나는 모든 것들을 빛날 수 있게 한 유일한 요소를 꼽으라면, 미완의 과제에 평생을 매달린 두 수학자에 대한 저자의 애정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야 나는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창작물로 바친다는 것이 굉장히 지난하지만 아름다운 작업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ps. 나는 소위 ‘문돌이’다. 수학에 일찌감치 거리를 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책의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데는 크게 문제가 없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해가 충분히 되지 않는 부분(가령 해석기관의 도해라든지!)은 충분히 되지 않는 대로 넘기며 읽어도 무방할 듯하다. 저자가 짠 방대한 이야기 그물을 샅샅이 훑는 것이 이 책을 읽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또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