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번 학년도에 3학년 몇 개 반 수업을 맡아 했다. 

 

  겨울방학이 끝나면 개학을 하고, 개학한 후 며칠 있으면 바로 졸업식이었다. 내 수업은 반별로 두어 차시 정도만 남아 있었기에, 진도도 다 끝났겠다, 마지막으로 의미가 있는 말을 아이들에게 해 주고 싶어 개학을 코앞에 두고 신간을 부랴부랴 검색하기 시작했다.

 

  1. 아이들은 여학교 학생이다.

  지금은 비록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친구들과 안전하고 의미 있는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상급학교로 가게 되었을 때, 그리고 학교를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을 때, 아이들의 삶은 지금과 같을 수 있을까? 얼핏 생각해도 부정적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기 얼마나 힘든지는 모두가 알지 않는가?

  하지만 역설적으로 아이들은 지금 당장 '여성으로서의 삶'이 힘들다고 이야기하지 않았다(내가 남선생이라 이야기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겠다만). '메갈리아'는 반사회적 집단이 아니냐고 묻는 아이도 있었다(나는 물론 메갈리아=반사회적 집단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내 생각을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답을 따로 해 주지는 않았다). 성추행 의혹을 산 남자 아이돌에 대해 잠시 언급하자 열을 내는 듯한 아이도 있었다(이건 물론 남자 아이돌 팬이 교실에 있을 거라고 충분히 생각하지 못한 내 과오다).

  가치에 대해서 교육할 때 가장 어려운 지점이 이것일 테다. 학생들이 향후에 더 나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 생각하고 고민해 보아야 할 가치는, 정작 당사자들이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강요'니 '선동'이니 이상한 말이 나오는 일방적인 방식 말고(나는 물론 그 이상한 말들을 하는 이들이 문제라고 본다), 대다수의 학생이 공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치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이 마치 전가의 보도처럼 마련되어 있으면 좋겠지만, 그런 것 없다. 현장에서 부딪히고 계속 고민하면서 맞춰보는 수밖에.

  여튼.

  아이들에게 여성주의 입문을 도와주는 책이 있으면 좋을 텐데, 하고 고민하다 찾은 책이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정희진 외 지음, 우리학교, 2017)이다.

 

 

 

 

  '입문서'라는 용도를 증명하듯 서술은 전반적으로 평이하다. 좋았던 부분은 각 장의 말미에 소주제(공동체 생활, 모성, 외모 지상주의, 대중문화, 온라인과 여성혐오, 여성주의 자기방어훈련, 성 정체성, 몸과 성, 노동, 과학, 환경)와 관련 있는 여성주의적 콘텐츠가 제시되어 있는 것.

 

 

 

 

  2. 아이들은 이제 곧 졸업을 한다. 내가 이들과 한 교실에서 만나는 것도 이제 끝내야 하고, 이들은 저마다의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 무언가 힘과 도움이 될 만한 말을 해 주었으면 좋겠는데, 너무 식상한 말은 아니었으면 좋겠다. 그렇다고 내가 창의적이고 톡톡 튀는 인간형이냐 하면 그렇지는 않아서, 결국 책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우연히도', '졸업식 연설문 모음'이라는 신간을 인터넷 검색 중에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 날에 바로 집 근처 서점에서 구입했다. 커트 보니것의 <그래, 이 맛에 사는 거지>(김용욱 옮김, 문학동네, 2017)다.

 

  과문한 탓으로, 커트 보니것이라는 이름은 많이 들어보았으나(먼 옛날도 아니고, 어쨌든 옛날에는 '커트 보네거트'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다) 그가 쓴 글을 실질적으로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의 말은 뭐랄까, 중세의 광인 같다. (푸코의 <광기의 역사>에 따르면, 중세에는 광인이 현인이었다고 하더라... 물론 읽지는 않고 어디서 주워섬긴 지식이다). '가족', 그중에서도 '대가족' 언급을 많이 하길래 잠깐 절레절레했으나,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의미에서의 '가족' 말고 '공동체'로서의 집단을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옛날 사람인데, 옛날 사람 같지 않은 측면도 있고, 그러면서 어떨 때는 옛날 사람 같기도 하고, 그랬다. 책은 아이들이 졸업하고 며칠이 지난 지금까지도 완독하지 못했다.

 

3. 두 책을 읽고 아이들에게 해 준 마지막 말은 너무 식상한 말들, 그게 다였다.

커트 보니것의 말은 워낙 독특해서 내가 함부로 모방할 계재가 되지 않았고,

여성주의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엠마 왓슨의 UN 양성평등 연설을 먼저 보여주고, 그다음에 이런 책이 있다, 정도로만 소개해 주었다.

 

 

4. 그리고 아이들이 졸업했다.

마지막에 아이들과 같이 찍은 사진이 없어 아쉬웠는데, 생각해 보면 나도 학생 때는 선생님들에게 먼저 다가가서 사진 찍고 인사 드리고 하지는 않았었던 것 같다.

 

아이들이 졸업하기 며칠 전에 읽은 책들을 정리하며 글을 쓰려 했는데 업무 핑계로 게을렀다.

아이들이 졸업하고도 며칠이 지났다.

글을 쓰며 쓸쓸해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나도 이 학교를 곧 떠난다.

다시 교사 아닌 자리로 돌아간다. 이것도 쓸쓸함의 한 가지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