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 가위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마을 11
용달 글.그림 / 책고래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기발한 책이 아닐까 싶다. 한창 뛰어놀아야 하는 아이의 입장에서는 매일 학교에 가서 딱딱한 의자에 앉아 일정시간을 교육받는다는 것이 힘든일일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땅히 거쳐야 하는 과정이기에 이렇다저렇다 반항을 못하고 학교에 가야 하는 우리네 아이들.

상상속에서는 무한한 행동을 할수 있다. 그랬기에 지각대강 건이가 이런 기발한 생각을 해냈을수도.

책의 앞부분에 나오는 건의 시선에서 바라본 학교 가는길. 까마득히 먼 지점을 바라보고 있는 꼬마아이의 모습이 왜 그렇게나 웃기던지.

실제적으로 학교까지의 거리는 그닥 멀지 않았겠으나, 건이 봤을때는 가도가도 끝이 없는 길을 지나야만 나오는 학교.

건이 가지고 있떤 가위로 시계를 싹둑 잘라낸다. 그리고 자기가 좋아하는 몬스터로 교문을 만들고. 어른들은 모두 학교에 입장할수 없게끔 하고. 또 뭔가 틀에 박힌듯한 교실의 물건들을 하나하나 잘라낸다. 이렇게 맘에 안드는 부분을 잘라내고 나니, 학교안 풍경이 확 달라진다.

책의 처음은 분명 흑백이었는데, 마법가위가 등장해서 활동하는 순간부터는 칼라로 바뀌어가는 설정도 넘 재미났다.

가기 싫은 학교니까, 애써 현실을 외면하기 위해 더 늦잠을 잤을수도. 또 가기 싫은 학교였기에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더 꾸물댔을수도. 수학시간에 건의 눈에 들어오는 숫자들은 머리아프게 하는 매체일뿐이다. 충분히 건의 심정이 이해가 됐다.

우리도 다 몇번씩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기 싫고 어른들은 회사에 가고 싶지 않을때가 있지 않을까? 피하고 싶고 될수 있음 마주치고 싶지 않은 현실을 피할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 누구라도 그 방법을 알고자 할것이다.

나에게도 건의 마법가위가 주어진다면 어느부분을 오려내고 싶은지 생각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졌다.

그렇지만 현실은 결코 우리의 바람대로 하루아침에 호화찬란하게 바뀔수 없다. 그리고 매번 싫다고 현실을 회피할수도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따분하고 지루하다 싶은 현실을 개선시킬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봐야 한다.

학교가 딱딱하고 틀에박힌 교육만을 강요하는 곳이라는 인식을 벗어던지고 학교내 생활도 얼마든지 생각하고 마음먹기에 따라 놀이터처럼 재미나고 신난 공간이 될수 있음을 알려줘야 하지 않나 하는 의무감을 갖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