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을 삼킨 소년 - 제37회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신인상 수상작
야쿠마루 가쿠 지음, 이영미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난 후 내가 더 먹먹해졌다. 나 역시도 자식을 키우는 부모의 입장이기에.

그리고 내가 학창시절을 보냈던 그때보다 지금은 아이들은 훨씬 개성이 도드라지고, 또 욱하는 성향도 있고, 또 그런 아이들을 내 자식이니까라는 이유로 보호하려는 부모가 있고 또 어떻게 된것이 아이의 눈치를 살피며 살아가는 시대가 되다보니 14살밖에 되지 않은 이 쓰바사가 왜 이런 극단적인 행동을 했을까에 대해 생각을 하다보니 마냥 안타깝고 안쓰러워졌다고 해야 할 것이다.


어느날 갑자기 다른일도 아닌 중학생 아들이 동급생을 살해하고 시신을 유기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었다는 연락을 받은 아버지 요시나가의 심정은 어땠을까?

감히 상상도 할수 없고 그의 슬픔을 이해한다고 감히 말할수도 없을 정도다.

분명 아들 쓰바사가 체포된 경찰서로 뛰어가면서 그는 절대 아니라고, 분명 오해일것이라고, 누군가의 모함일것이라고 생각했을것이다. 그렇지만 그에게조차도 아들은 침묵해버린다. 이렇게 사건에 대해 그어떤 이유나 변명도, 상황설명도 하지 않은채 재판을 받게된다면 치명적인 타격이 주어질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는 어떻게든 아들의 침묵을 깨기 위해 노력한다.


이혼후 그도 분명 힘들었을 것이다. 상처를 극복하고 나름 자신이 속해있는 공간에서 승승장구를 달리던 그에게 어느날 날라온 청천벽력같은 소식.

자신이 기획했던 프로젝트의 성공파티를 하는 그 찰나에 걸려온 아들 쓰바사의 전화를 받았더라면 뭔가 달라졌을까? 그렇지는 않았을것 같지만 전화를 그당시 받지 못했던 아버지 요시나가는 계속 자책했을 것이다.

난 요시나가의 아버지가 건넨 그 한마디가 아이를 키우는 우리네 부모들이 절대 잊어서는 안될 절대불변의 진리가 아닐까 싶다.

행동의 옳고 그름을 떠나서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는 말.

이 말은 어떤상황에 대입시켜도 맞는 말 같다.


어른들의 시선으로 봤을때는 정말 별것 아닌 이유인데도 아이들세계에서는 얼마든지 분란의 불씨가 될수 있다는 것. 그것을 아이가 부모에게 말하며 sos할때 대수롭잖게 듣고 넘겨서는 안된다는 사실도 가르쳐준다.

항상 아버지는 듬직하고, 묵직하고 쉽사리 움직이지 않고 지켜봐주는 존재로 생각하는데, 이 책속에 등장하는 아버지 요시나가는 아들의 안전을 위해, 아들의 잘못을 회생할수 있는 기회마련을 위해 용감하게 일어섰다. 그리고 강하게 대처했다. 그런 아버지 요시나가가 있기에 아마 2년후 쓰바사의 인생도 달라질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