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나이가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죽음에 대해서는 공포스러울 정도로 예민하다. 그리고 애써 생각하려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어느날 갑자기 내가 죽음과 맞닥뜨리게 되면 하염없이 무너져 내릴것 같다.

서른여섯이라는 한창인 나이에 또 힘든 레지던트 마지막해에 폐암4기라는 판정을 받게 된 주인공. 그는 레지던트 만료후에는 월급도 지금에 비해 몇배나 높아지고, 또 지금보다 시간적 여유가 있을거라는 생각때문에 가정에 더 치중하려 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운명은 그를 호락호락 지내게끔 하지 않았다.


신경외사였고, 그가 만나는 환자들은 죽음과 직면해있는 경우가 많았고, 그런 환자들에게 그는 용기를 불어넣을때도 있고, 피할수 없는 현실과 직면하게끔 길라잡이 역할을 해주기도 했다. 그런데 정작 자신의 죽음을 앞에 두니 그도 생각이 많아질수밖에 없었다.

그는 암선고를 받고, 얼마안있어 칼럼기고를 통해 암선고를 받았지만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에 빠져있는 딜레마에 대해 솔직하게 기재하여 많은 이로부터 엄청난 이슈를 받았다.

제3자의 입장이라면 이별하는 방법과 현재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라고 조언을 할수도 있겠지만 막상 내일이 된다면 결코 쉽지 않을것 같다.


폴 칼라니티는 자신의 아버지가 의사생활을 하면서 가정내 충실하지 않았기에 의사가 되지 않겠다 결심을 했지만 모든 운명이 그사람이 계획한대로 움직여주지는 않는다. 어찌됐든 문학적인 부분에도 관심이 많았던 그는 청소년기때부터 무엇이 삶을 의미있게 하는지에 대한 주제에 빠졌었고, 인간의 정신이 뇌의 작용이라는 점과 함께 결국엔 피하고자 했던 의사의 길을 스스로 선택하여 걷게 되었던 것이다.

처음부터 의사가 되겠다 무작정 계획한 그가 아니여서 그랬을까? 아무튼 그는 치명적이다 싶은 뇌손상 환자들을 치료하면서도 단순히 수술하고 치료하고 그 경과를 지켜보는 수준이 아니라, 그들에게 무엇을 더 해줄수 있는 것은 없는지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또다른 길을 모색하려 노력했던 점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지 않았나 싶다.


이제껏은 의사의 입장에서 환자들을 바라봤지만 36이라는 젊은 나이에 의사에서 환자로 신분이 변화되었고, 자신역시도 죽음앞에서 절망할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그는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점이 막막하기는 하지만, 그러하기에 앞으로 나아갈수 없는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나아가겠다고. 내 신체가 죽어가고 있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지금 현재는 살아있다라는 것, 그렇기에 죽음을 생각하기보다는 계속 살아가는것으로 마음먹겠다고 다짐하는 용감성을 보여준다.

이미 그가 세상을 떠났음을 알면서도 난 그가 살아줬으면 하고 바랬다.

또 자신이 죽기전에 딸아이를 만날수 있었다는 점이 다행이다 싶으면서도, 그 어린 아이를 눈에 담고 어떻게 이세상을 떠났을까 싶으니까 그냥 가슴이 먹먹해져 왔다.


그의 글을 읽으면서 죽음이라는 명제를 굳이 회피하거나 외면할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 오는 순서는 정해져 있지만 가는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다라는 말이 있듯이 내 삶에 대해 100% 책임질수 있는 현명한 삶의 주인공이 되어야겠다라는 생각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