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유산 - 우리 시대 명사 25인에게 듣는 남다른 자녀교육법과 아이에게 물려주고 싶은
중앙일보 강남통신 팀 지음 / 토트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세상에는 정답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정작 그 상황에 대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맞다고 할지라도 나와 우리집 상황에 비춰 정답이 아닐수도 있음을 우리는 안다. 그중 아이를 키우고 아이가 제대로 성장하게끔 가이드 역할을 해야 하는 부모의 입장에서는 수많은 설에 시달려야 하고, 또 시행착오를 거쳐가면서라도 뭔가 혁신적인 변화를 꿈꾸고 싶기도 하다.

나역시도 그렇다. 아이를 키우면서 행여 정보력이 부족하고 행동력에서 있어 진취적이지 못한 엄마때문에 뒤처지면 어떡하나 하는 조바심을 갖게 된다. 그렇기에 될수 있음 많은 이야기를 접해보려 하지만 쉽지 않다.


이 책에서 난 또 한번 느꼈다. 물론 책을 읽고 내가 깨달았다고 하여 그부분을 100% 실생활에 적용시키기는 힘들다. 그렇지만 조금씩 조금씩 개선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아이를 낳는다고 하여 자동적으로 부모라는 명함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순전히 어른들의 입맛과 어른들의 기대치에 부응하는 아이로 키우기보다는 내아이가 행복하게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차근차근 시간을 성숙시켜갈수 있도록 제대로 된 한사람의 완성체가 되게끔 노력해야 하는 것이 부모의 몫이다.

우리네 아이들에게 캥커루족이라고 하는 말이 있다. 어느정도 나이가 들고 제앞가림을 할때 즈음이 되면 홀로서기에 돌입해야 하는데, 워낙에 보호막속에 지내다 보니, 밖으로 나가기 주저하고 겁을 많이 내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장 공감했던 내용은 수필가 피천득님의 차남이 남긴 글이었다. 적당히 가난하고 적당히 부자여야  마음이 편하다라는 말. 뭔가 부조화스럽다 싶으면서도 읽으면 읽을수록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아이들의 행복지수가 평균이하라는 통계가 있었다. 앞서려고만 했고, 남을 한명이라도 제껴야 한다라는 경쟁의식속에 살다보니 소소한 행복이라는 개념을 잊고 살게 된다는 것. 거창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빛이 날수 있고, 소박하고 부족한 삶속에서도 얼마든지 내 행복을 찾을수 있고, 나에게 찾아든 아주 작은 일에도 항상 겸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감사할줄 안다면 그자체로 그 행복이 아닐까? 그리고 그런 마음을 갖고 세상을 살아갈수 있게끔 독려하고, 또 모든 부분에 있어서 더 많이 쟁취하고 앞서는것만이 능사가 아님을 본인 스스로 깨닫게 교육시키고 지켜봐주는 것이 우리 부모가 자식들에게 줄 최고의 유산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