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서 온 아이
에오윈 아이비 지음, 이원경 옮김 / 비채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동화책들이 떠올랐다.

소설의 배경은 1920년대의 알래스카다. 원래부터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이 아닌 사람들이 어느날 갑자기 알래스카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상황이 된다면 과연 그곳에 적응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할까?

아이를 사산하고 극심한 우울증에 걸린 메이블. 이웃은 물론이고 친척들과도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한채 헤매다 잭과 메이블 부부는 새로운 인생을 살아보겠다 다짐하고 알래스카로 떠났다. 아직 알래스카를 가본적이 없기에, 현실의 알래스카는 어떤 모습일지 어떻게 변해있을지 모르겠으나, 1920년대 알래스카는 많이 황량했을 것 같다.

그곳에서도 메이블은 사고사인것 같은 자살을 시도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다.

이랬던 그들에게 전환의 계기가 왔다. 바로 첫눈이 내리는 날 잭과 메이블은 자신들이 행복했던 그 옛날을 떠올리며 눈사람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눈사람에 모자, 목도리, 장갑까지 끼워줬는데 다음날 아침 나가보니 눈사람은 망가진채 있고, 숲으로 이어지는 발자국을 발견하게 된다.

이즈음에서 난 생각해봤다. 만약 내가 이런 상황을 발견했다면 과연 그들처럼 숲으로 이어지는 발자국을 따라나설 수 있었을까 싶었다. 무섭기도 하고, 낯선 상황이기에 그냥 묵인했을 것 같은데 말이다.

아무튼 그들은 눈사람과 똑같은 옷을 입을 소녀를 발견한다. 행여 이 아이가 자신들이 만들었던 눈사람이 사람으로 변신한것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하게 되고, 소녀가 오는 시간만을 기다리게 된다.


황량한 알래스카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내기 위해 그들은 추운 겨울을 나야 했다. 인간에 대한 실망감을 가지고 있는 그들 부부곁에 따뜻한 성품의 이웃이 있었기에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잭이 아파서 일을 못하게 되자, 그들은 잭과 메이블의 집으로 옮겨와 일을 도와주는 것은 물론이고, 힘들어하는 잭과 메이블에게 따뜻한 조언을 건넨다.

가장이라고 모든 것을 끌어안고 허우적거리는 잭에게 메이블이 보이는 것 이상으로 강한 사람이니 혼자 짊어지려 하지 말라고, 힘들면 힘들다 털어놓고 의지할수도 있어야 하지 않겠냐고 또 매사 힘들어하고, 과거속에서 벗어나지 못한채 현실과 과거의 경계선이 모호한듯 보이는 메이블에게는 우리네가 살아가는 삶이 수수께끼이고, 질서정연하게 확정된 상황만이 펼쳐지는 시공간이 아니라는 것을 가르쳐주며 도전하는 것과 낯선것에 대한 두려움을 피하지 말라고 조언하는 모습을 보면서 참 현명한 사람이다라는 생각도 해 봤다.


잭과 메이블이 그렇게나 기다리고 바라봤던 파이나에게도 시간은 흘렀다. 그둘의 사랑을 받으면서도 어느 선 이상으로는 접근하지 않던 그녀에게도 사랑이 찾아왔고, 결혼을 했고, 아이도 낳았다. 파이나가 떠난 자리에 남겨진 그 아이는 잭과 메이블에게 하늘이 선사한 큰 선물 그 이상이었다.

혹독하고 매서운 겨울을 매번 이겨내야만 따뜻한 봄이 오듯이 파이나를 기다리는 마음은 시간이 갈수록 짙어지겠지만 그들에게는 파이나의 아이와 또 따뜻한 이웃과 서로를 위하는 마음이 있었기에 쓰러지지 않고 버텨낼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