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 1 사계절 1318 문고 104
이금이 지음 / 사계절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금이작가의 새로운 소설이 아닐까 싶다. 아동청소년문학 작가로만 알고 있었던 작가인데, 역사소설을 이렇게 재미나게 써낼줄은 몰랐었고, 이래서 한번 신뢰가 가는 작가는 그가 소재로 어떤 장르로 글을 써도 믿고 보는구나 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와 관련된 내용이 담겨져 있는 책들은 하나같이 우리네에게 생각할 꺼리를 던진다. 그리고 내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이 현실이 어떤 희생과 노력의 토대로 만들어져있는지를 잊지 말라고 당부하는 것 같다.

 

논서너마지기에 딸을 팔아야했고, 어린 소녀를 사는 것이 가능했던 시대. 작은 시골마을의 수남은 윤자작의 딸 채령의 생일선물이라는 명목으로 거래되어 경성으로 오게 된다. 채령의 몸종이자 장난감처럼 취급되는 삶을 살게된 수남. 그렇지만 수남의 인생이 좀더 다를수 있었던 것은 수남이 결코 자신에게 주어진 어쩔수 없는 운명을 거스려고 한다기보다는 그 자체를 받아들이고, 자신이 개척해나가려는 의지를 보였다는 것이다.

글자를 읽지 못해 낭패를 당한 후로  수남은 학문에 대한 열의를 갖게 되었고, 뭐든 열심으로 배우고 익히려 한다.

그반면 또다른 주인공인 채령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너무나도 당연하게 받아들였고, 자신이 누리고 있는 온갖 혜택들이 당연하다는듯이 생각했기에 마냥 편하게만 살려 했던 것은 아닐까? 그렇기에 유학을 가서도 배우려 하기보다는 청춘사업에 더 쉽게 빠져들었지 싶다.

 

독립운동가담자로 오인받고 위기상황에 놓인 채령. 역시나 그녀는 돈의 위력으로 무사히 그 상황을 빠져나가게 되고, 역으로 수남이 채령이 되어 위안부로 끌려가게 되는 상황에 놓인다.

수남은 어렵게 그 상황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강휘가 있는 곳으로 가 사랑도 고백해봤고, 그녀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독립운동을 돕기도 한다.

뭐든 거창하게 움직이고 도와주는 것만이 독립운동이 아니라는 것도 보여주는 삶이다.

 

온실의 화초처럼 보호받았고, 또 자신의 어머니를 한번도 이해해보려 하지 않았던 채령은 낯선 타지에서 말도 통하지 않고, 철저히 배척시 되는 삶을 살아보면서 자신에게 주어진것이 어떤 삶이었는지 그 안에서 자신이 얼마나 나태하게 살았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된다.

서로 다른 삶을 살아갔던 그녀들이지만 한가지 공통점은 있었다. 자신들의 삶을 어떻게 살아내야 하는지를 절실히 깨닫고 알을 깨고 나오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