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돈 공부 - 나를 잃고 싶지 않아 처음 시작한
이지영 지음 / 다산3.0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결혼을 했고, 경제권을 내가 가지고 있는데도, 난 제대로 살림을 못하고 있다. 다른사람에게 빌려달라 하지 않고, 어르신들께 손벌리지 않고 소액일지라도 용돈을 드리고, 아이들 잘 키우면 되지 않나 싶었다가도, 이렇게 별다른 기술없이, 지극히 평범한 가정주부가 재테크를 제대로 해 목돈을 크게 마련했다라는 소리를 들으면 뜨끔거린다.

난 뭘했지? 하는 자괴감에 빠져든다고나 할까.

아무튼 이책의 저자는 대단하다. 두아이의 엄마이고 평범한 워킹맘이었는데 자신에게 투자도 하면서 짬짬이 공부를 하더니, 마침내는 순자산 20억원을 소유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저자의 남편은 얼마나 뿌듯할까?

우리는 흔히 누구네 남편은~ 이라는 소리를 하며 한탄할때가 더러 있는데, 역으로 남자들 역시도 누구네 부인은~ 이라는 탄식을 할수도 있겠다 싶어 다시한번 반성모드에 돌입했다.


로또에 당첨되는 것은 낙타가 바늘귀 통과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우린 가끔씩 상상의 나래를 펴보곤 한다. 부모로부터 억만금의 돈을 유산받을 처지도 아니라면 내 스스로 돈관리를 알뜰살뜰하게 해야 한다.

저자가 주장한  ‘532 시크릿 머니 법칙’을  당장에 메모해놨다. 그런데 그게 가능할까? 수입의 50퍼센트는 저축하고, 30퍼센트는 생활비로 쓰고, 20퍼센트는 자기 자신을 위해 쓰는것이 과연 가능할것인지 계속 머릿속으로 궁리를 해 봤다.

노후를 위해서든,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든 돈을 알차게 모으기 위해서는 무조건 수입의 반을 뚝 떼어내 저축을 해야 하는 것은 맞다. 그런데 일단 그렇게 되면 참 사람이 사는 것이 재미없어질것 같다.  우리가 돈을 버는 이유가 잘먹고 잘살기 위함인데, 미래를 위해 지금의 행복을 저당잡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 지금의 경제방식으론 안된다라는 자각을 해봤다.

요즘은 카드를 사용하면 카드사용내역외에 누적금액도 문자로 전송해주는데, 엊그제 그 문자를 보고 헉 했다. 언제 이렇게 썼지? 하는 생각이 들어 당장 카드승인내역을 조회해봤다. 그렇지만 결코 그 문자는 진실만을 말해줬다. 그래서 앞으로는 카드사용을 절제해야지 했건만 좀전에 아이들때문에 엄마한테 맡겨놓은 카드사용내역이 문자로 날라왔다. 이게 뭐지 하는 생각에 바로 전화를 하고 났더니, 좀스럽다 생각이 들어 반성도 해봤다.

아무튼 돈을 모으려면 일단 철저한 계획하에 돈을 써야하는 것 같다. 첫술에 배부를수 없겠지만, 허투루 빠져나가는 돈이 없게끔 저축액과 생활비 사용내역을 잘 정리해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