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참는 아이 욱하는 부모
오은영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아이를 키우는 부모입장이라면 항상 생각한다. 어떡하는 것이 내 아이의 신체와 정신건강을 위해 가장 좋은 것일지. 그리고 아이의 인성을 올곧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해서.

이 책은 일단 나 자신을 계속 되돌아보게 하면서, 내가 마치 인내하고 있다고 나자신을 위로했던 모습을 반성하게 된다.

아이들의 시계와 엄마들의 시계는 속도가 같지 않다라는 말을 들은 기억이 난다. 그리고 아이는 재촉하지 말고, 기다려줘야 한다고.

분명 이 불변의 진리를 안다. 알면서도 현실에 적응하기는 왜 그리도 힘든것인지.


소개글을 읽다가 내가 이 책은 절대적으로 읽어봐야지 했던 구절이 바로 부모는 참아준다고 생각한다고. 그렇지만 당연히 기다리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뭐든 새롭기만 하고, 낯설기만 한 상황에 제나름대로 열심히 적응중인 아이들에게 먼저 그 상황을 거쳤다고, 이미 어떤 결과가 나올지 어림짐작이 가능하다고, 어른이라는 이유로 아이들에게 무조건적으로 지시하고 강압적으로 행동에 제약을 두는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했다.


요즘 사회면을 달구는 사건사고의 중심에는 <분노조절장애>라는 말이 심심찮게 등장한다. 외부적인 환경도 분명 있겠지만, 내부적인 환경요인도 작용할것이다.

부모도 사람이다. 그리고 한가지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일을 새로운 이름을 달고 하고 있다. 직장인으로, 엄마로, 며느리로, 딸로, 동료로... 기타등등의 이름을 가지고 우리는 매순간 대처하는 어른이다. 그러다보니 우리 내면에 나도 모르게 차곡차곡 쌓여가는 울분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것을 제때 터뜨리지 못하다보니, 그게 누적되어 가정내에서 정말 별것 아닌 일에 욱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정말 하루에도 몇십번씩 번뇌하게 된다. 이 순간에 아이를 타일러야 할지, 아님 더 참아야 할지. 여기서도 또 나왔다. 참아야 한다고. 그냥 기다려줘야 하는데, 자연스럽게 아이가 스스로 깨닫고 뭔가 발견하고 개선할수 있게끔 기다려줘야 하는데.


내가 욱할때 침묵하는 아이를 보고, 내 말이 먹혔나 하는 오만은 버려야 한다는 것도 다시금 깨달을수 있엇다. 혼나지 않기 위해, 그냥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아이들 스스로 보호막을 쳤을뿐이라는 것. 짜증나고 화나는 부분을 아이가 자신의 감정주머니에 모아두었을뿐이지 결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 그 감정주머니가 언제 어느때든 폭발할수 있다라는 것을 우리는 너무 쉽게 간과하고 있었구나 하는 반성을 하게 했다.


아이의 감정을 다치지 않게, 아이의 감정주머니가 항상 긍정적이고 평온할수 있도록 부모인 우리는 세심하게 관찰해야 하고. 또 아이들이 보내는 신호를 제때 잘 파악할수 있는 세심함도 갖춰야 하고, 어떤 상황에서든 아이 스스로 자신은 사랑받고 있음을 느끼고 자신있어 하게끔 도와야 한다라는 생각을 갖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