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한번 권비영작가는 우리네 가슴을 울렸다. 몇년전 <덕혜옹주>를 읽으면서 힘이 없는 나라에서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슬픈일인지, 빈부의 격차에 따라 가지게 되는 고통이 크고 작음이 있을지는 모르나, 그 모든 사람들이 아플수밖에 없음을 느꼈는데. 이번에도 역시 그랬다.

정말 살고 싶었고, 꿈을 꾸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싶었을 과거 그 어느시점의 어린 소녀들.

영실, 은화, 정인이라는 소녀들이 등장한다. 그녀들은 각자 가지고 있는 사연이 다르다.

일단 주요화자역할을 하는 영실은 순사를 때린 죄를 피하기 위해 만주로 도망을 쳤고, 그런 아버지를 찾겠다고 영실을 남겨둔채 먼길을 떠난 영실의 엄마.

영실의 엄마에게 있어 비중이 컸던 사람은 영실아버지였을까? 나 같았음 그를 기다리며 딸을 키웠을것도 같건만. 아무튼 그 둘이 빠져나간 뒤끝에 영실은 경성 이모네로 와서 허덕거리며 살아간다. 이모네 역시도 풍족하지 않았기에.

이 세명의 소녀중에서 가장 부유한 삶을 살았던 사람은 정인이다. 그렇지만 그 부유한 삶이 그냥 주어진 것이 아니다. 일본앞잡이 역할을 하며 배를 두들기는 그런 격이었으니 정인의 정신적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았다. 그렇지만 항상 일제시대와 얽혀있는 책들을 볼때마다 난 이런 생각을 한다. 그들은 항상 자신들의 부모가 그런 실수를 하고 있기에 창피하다고, 또 그렇기에 더 엇나가는 삶을 살수밖에 없다고 하지만 어쩜 그들의 그런 생각 역시도 일단 배 부르고 따뜻해서 하는 생각이 아니었을까 싶었다. 정인이 자신의 아버지를 수치스러워했지만 결국엔 유학까지 떠났으니.

이중에서 가장 안타까웠던 인물이 난 은화였다.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어쩜 정해진 삶의 수순처럼 보이는 기생집 생활을 벗어나려 했지만, 그보다 더 험악하고, 결코 온전하게 빠져나올수 없는 늪으로 빠져들었기 때문이다.

그대로 있다가는 기생이 될 것 같아 가출까지 감행했던 은화의 삶이 꼭 그렇게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아야만 했던 것인지.

도대체 왜 전쟁은 일어나는 것일까? 그리고 왜 계속적으로 욕심을 내고 자신의 부와 평화를 위해 다른사람의 기본적인 권리까지도 짓밟으려 하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본이라는 나라가 우리 나라를 억압했던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있어 희망은 무엇이었을지, 그 희망을 되찾기 위해 사그라져갔던 사람들은 과연 우리나라의 해방을 하늘에서라도 볼수 있었을지 궁금해졌다.

위안부 문제는 결코 하루아침에 해결될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그 시간을 기다리면서도, 또 망각의 세계로 가고 있지는 않는지 되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이런 아픈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가 힘을 키우는 방법밖에는 없다. 그리고 역사속의 교훈을 결코 잊어서도 안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