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블랙홀 - 자기 회복을 위한 희망의 심리학
가야마 리카 지음, 양수현 옮김, 김은영 감수 / 알마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인간이 살아감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거나, 힘들다 느껴질때 주원인은 바로 사람이다. 우리는 사회적동물이기 때문에 인간과의 관계형성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 요인을 발견한다고 한다.

예전같으면 정신과 치료를 일명 정신이상자들이 드나드는 것이라 터부시했지만, 요즘은 그게 병이 아니라, 나자신을 곧추세우기 위한 노력의 일환일 뿐이다.

제목 자체가 마음에 와 닿는다. 자기 회복을 위한 희망의 심리학이란 부제를 달고 있다.

정신과의사인 저자가 본인이 만난 젊은이들을 통해 우울증과 같은 어찌보면 진단하기 힘든 문제점에 대해 [충족되지 않는 나, 상처받기 쉬운 나], [몇명의 나, 진짜 나], [마지막 보루로서의 몸]이라는 세갈래로 나누어 그들을 진단하고 거기에 따라 [자기회복을 위한 처방전]을 제시했다.

저자가 말했듯이 이제는 정신의학의 기본인 '병' '이상'과 '건강' '정상'의 구별은 거의 의미가 없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속에 등장하는 사례들은 솔직히 어떤 특정인만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아니라, 모두 한번쯤은 생각해봤음직한 우리의 모습인것도 같다. 결국은 나 혼자만의 문제이고, 내가 가지고 있는 이상증상증세가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 강도가 다르거나, 아님 받아들이는 자세에 차이가 있었을뿐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의 저자가 쓴 [어디로 갔을까 나의 한쪽은]이란 책에 나온 내용을 인용한 부분이 있다.

무언가가 모자라

그래서 나는 즐겁지 않아

모자란 조각을

찾으러 가자

넘어지면서

나는 노래해

'나는 조각을 찾고 있어

모자란 조각을 찾고 있어

랄라라 어서 가자

모자란 조각을 찾으러'

붐명히 [어디로갔을까 나의 한쪽은]이란 동화를 읽었을때 받았던 느낌은 단순히 한부분이 빠진 동그라미가 잃어버린 한쪽을 찾아나섰다가 만나게 된 상황과 결국은 잃어버린 부분을 찾지만 결국은 그부분을 내려놓고 원래 이가 빠진 모습 그대로 즐겁게 노래하며 행복하게 돌아간다는 내용이었는데, 이 책은 거기에 등장하는 동그라미가 잃어버린 부분을 찾아나서는 과정을 '무언가가 모자라다'라고 생각하는 마음과 그것을 찾아 완전한' 동그라미'가 되고 싶어하는 갈망때문에 우리가 자유롭지 못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래서 심리학이 재미있고, 꼭 한번 탐구해보고 싶은 분야인가 보다.

뭔가 모르지만 마음에 구멍이 뚫린 느낌때문에, 무언가 소중한 것이 빠진듯한 느낌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나만 그런것이 아니라는 위안을 준다.

사실 이러한 마음이 뻥 뚫린 것 같은 기분은 지극히 주관적이나 그 개인에게는 말로 표현못할 정도로 고통으로 다가올수도 있다. 그러한 감정상태를 제어하지 못해 우울증으로 인한 자기공격적인 극단적인 행동을 저지르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느낌을 받을 경우 우리가 명심해야 할 부분은 나만의 문제라 아니라는 것. 그저 '마음의 감기'라 표현되는 우울증에 노출되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가슴 저 밑바닥에 가라앉아있는 '그래도 나는 정말 살고 싶다. 빛나는 인생을 살고 싶다'라는 그 생각을 끄집어내서 온힘을 다해 뭔가에 몰두하는 것이 최고이자, 최선의 선택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는 말처럼 우리네 마음은 너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투명하게 보이고, 남에게 보여줄수 있는 그런 마음이라면 살아가는 삶이 좀더 단순하면서 행복하지 않았을까? 어찌되었든... 내 맘속을 한번 들여다보고 아픈 부분은 꿰매고 덜어낸후 다독일수 있는 책이 되었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