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겨레는 수학의 달인 - 경주로 떠나는 수학 여행 수학과 친해지는 책 3
안소정 지음, 최현정 그림 / 창비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겨레는 수학의 달인~ 정말 대단한 발견이었다.

수학과 친해지기 위한 책이었는데, 어떻게 된 것이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더 알고 싶어지는 욕구가 생겼다.

어찌되었든 좋은 결과를 낳은 것이다.

경주하면 불국사와 석굴암. 또 수학여행의 단골코스가 떠오른다.

그렇지만 우리가 만난 불국사와 석굴암, 또 첨성대 등 과거 조상들이 남겨주신 유물들을 보며 와~ 놀랍다~ 대단하다~를 연발하기는 했으나,

결코 그 안에 정밀한 수학원칙이 숨겨져 있으리라고는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런 의미로 따져보면 이 책의 저자가 궁금해진다. 어떻게 이런 발상을 하게 되었는지 말이다.

우리나라 민족이 뛰어난 두뇌의 소유자임은 확실한 것 같다. 그런 놀라운 재능들을 갈고 닦아 강대국으로 입성해야 하는데 하는 아쉬움도 들게 했다.

이제껏 솔직히 수학은 서양학문이라 생각했다. 그렇지만 옛날부터 수학을 활용하여 생활했다는 내용을 접하고 다시한번 놀랬다.

책에 예시로 나온 고려시대 수학시험문제를 보면 그리 어렵지 않은 문제였지만, 그래도 옛조상들도 수학을 공부했다 하니... 그리고 그런 수학의 원칙이 있었기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유적 지구로 지정된 경주의 문화유산들이 튼튼하게 지어져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니 존경스럽고, 괜히 으쓱해지는 기분이 든다.

그렇지만 그당시의 셈기구로 활용되었던 여러방법보다는 현재의 계산기가 훨씬 편하다는 생각은 들었다.

그리고 한글 창시자로만 널리 알려진 세종대왕이 수학분야에도 두각을 나타낸 일들이 많아 한나라의 왕은 그냥 되는 것이 아니고, 하늘이 점해준다는 말이 맞구나 하고 생각도 해봤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수학이라는 학문에 관심이 붙게 된다.

석굴암은 부처의 세계를 보여 주려고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마치 수학의 세계를 보여 주기 위해 지어진 것처럼 느껴질 정도야. 신라의 수학을 자랑하기 위해 석굴암을 만든 것은 아닐까? (p63)

이 책을 읽지 않았더라면 문화유산에 담겨져 있는 수학의 원칙, 또 그러한 수학의 정석들을 활용해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꼼꼼하게 유적을 만들어낸 선인들의 지혜를 모르고 지나갔을거라 생각하니 갑자기 이 책에 대해 입소문을 많이 내야겠다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직접 재어보지 않았지만, 석굴암내 불상이 놓인 천장의 덮개돌 주위에 태양의 주위를 돌듯 둥글게 끼임돌을 박았는데, 이 세개의 동심원에 들어간 돌과 돌사이의 간격이 한치의 오차도 없다는 것을 읽고는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책의 표현은 이랬다. "이때 돌과 돌 사이 간격이 1만분의 1의 오차, 즉 10m를 측정하였을때 1mm의 틀림도 없이 정확히 계산되었다는 거야."(p55)

책을 덮는 순간까지 계속 감탄사를 늘어놓으며 읽었던 책이다. 물론 내가 무지한 관계로 100% 이해못한 내용도 있기는 했지만 오랜만에 머리도 쓰면서 열심히 읽었다.

올해가 가기전에 여행지 경주 방문이 아니라, 선인들의 지혜가 살아 숨쉬는 수학의 세계 경주를 한번 다녀와야 할 이유가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