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를 왜 해동성국이라고 했나요? - 해동성국 발해에 대한 궁금증 48가지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 40
송기호 지음, 문종인 그림 / 다섯수레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시리즈는 참 볼때마다 한결같다는 느낌을 준다.

몇 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고 처음 시작점에 제시했던 책과 표지며, 글씨체며, 사진의 구성이며 거의가 같은 형태다.

이번에 읽은 책은 발해를 왜 해동성국이라고 했나요?인데, 발해의 존재감은 극히 미비했었다.

그렇지만 이 책을 통해 여러 가지 가정을 하게 되었다. 그 첫 번째가 만약 삼국통일이라는 위대한 과업을 조그마한 나라 신라가 아니라 좀더 역동적이고 진취적인 성향이 강했던 고구려가 했더라면 지금의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어있을까이다. 그랬더라면 고구려를 계승하려고 노력했던 발해의 존재감도 이렇게 희미한 상태로 남아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발해는 통일신라와 고구려와 비교했을때도 영토의 크기가 크게 차이가 났었고, 선진문물을 당나라에서 들여오면서 계속 융성한 발전을 했기에 해동성국이라는 이름까지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황제만이 사용할수 있는 '대흥‘같은 연호를 계속 사용했다는 점에 있어서는 발해인의 배짱과 긍지가 느껴져 괜히 으쓱해지기도 한다.

또 역시나! 하고 느꼈던 것은 우리나라의 교육열이 몇백년전에도 변함없이 높았고, 또 학구열도 그이상으로 좋았다는 점이다. 당나라에 유학을 가서 시험을 치러도 발해유학생과 신라유학생사이에 수석다툼이 있을 정도였다니 말이다.

이 책은 그 외에도 어린이들이 궁금해할만한 질문 48가지에 대해 발해새람들이 남긴 유물이나 사진등을 토대로 역사의 현장을 느낄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우리가 쉽게 찾아가서 직접 보고 만져보고 할 수 있는 유적들이 우리 땅에 없다는 것이 못내 아쉽기는 하다.

더 솔직히 말하자면, 발해에 대한 책들이 좀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발해에 대해 설명되는 역사책의 몇줄을 가지고 과연 궁금해할 어린이가 몇이나 되겠는가? 많이 홍보하고, 발해에 대해 알려고 노력하게끔 자주 거론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렇지만 일반인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고 역사의 장 뒤편에 파묻혀가고 있는 발해사를 자리잡게 해주려는 이런 노력이 있기에 우리가 지금에라도 서서히 알아갈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어 한편으로는 너무 뿌듯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